작업 보고가 늦어져 죄송합니다^^
이 125는 제가 작업한 기기중 가장 손이 안탄 기기 같습니다만
사용은 많이 했지만 내부 기판 커버도 제가 처음 열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택배중 패널 우측 상단이 파손되고 말았습니다...
위 사진은 제가 판금 망치로 그나마 편것인데 별 차이가 없습니다.
패널이 두껍고 파손 염려로 이 정도가 한계인것 같습니다.
별 차이가 없어 보여도 옆집 쫒아올 정도로 엄청 두드린겁니다.
더 두드리다가는 찌그러지고 깨집니다.
박스에 찍힌 쪽이 2군데로 구멍이 2계통이 나있습니다.
박스가 얇고 완충 처리가 철통같지는 않습니다만
아무리 잘 포장해도 강하게 집어 던지면 소용 없겠습니다.
위 사진은 제가 작업후 포장하면서 보내주신 포장 상태를 재현해본 것입니다.
비슷...
우측 상단 쪽 크게 찍힌 곳인데 측면 완충용 스티로폼도 구멍나 있습니다.
던지기가 두번였던 것 같습니다.
편의점 택배인데 앞서 말씀드렸습니다만 우체국 택배도 전자 제품은
파손 면책으로 접수하는 것이여서 보상 받기는 어려우실겁니다.
그래도 사진을 보내셔서 상담을 해보세요^^
차후엔 우체국 택배를 이용 해보세요.저희 동네 기사 말로는
던지는 경우가 없다고 합니다만 동네 기사 나름이고,
얼마전 럭스맨 고급 튜너 보내주신 우체국 택배 경우
심하게 파손되어서 동네 나름인것 같습니다.
우체국 택배는 평균 4-5천원 더 비싼데 던지지 않아서
비싸게 이용하는데 집어 던지면...
각설드리고,심심한 위로의 말씀이나마 드립니다^^
이 기기는 파손되어서 처분하실듯 해서 간단히 작업해드리려 했는데
굳이 사용하신다고 하셔서 좀 살펴드렸습니다.
기판 커버 볼트를 풀어보니 출고후 한번도 안풀었던 것 같습니다.
국내에 둘아다니는 125는 볼트가 제것이 드뭅니다.
부품도 1개도 교환된 것이 없습니다.
이 8볼트 휴즈형 전구는 국내에서 이처럼 밝은 것은 없습니다.
중고 전구가 있다고 그냥 두시라고 하셨습니다만 제가 가진 중고로
달아두었는데 가운데 어두운 원래 전구도 같은 밝기 전구로 갈아두었습니다.
마란츠 리시버 전구 셋트가 이베이에서 30불 정도 합니다만
배송료가 65만원 짜리 밖에 없습니다.
요즘에 조명 전구는 일괄 led로 하고 있습니다만
그냥 전구가 좋다고 하셔서 그냥 두었습니다.
튜닝 포인터 전구가 나가서 교환.
그외 fm,스테레오 전구가 나가 있습니다.
기존 전구 소켓은 유용이 안됩니다.
스테레오 전구는 교환했다가 다시 led로 바꾸었는데 125 경우 정전압 회로 입력 쪽에
전류 저항이 빠듯해서 늘어난 전구 전류로도 정전압 전압이 뚝 떨어집니다.
여기까지가 간단히 작업하려던 중인데 쓰실 기기라고 하셔서 작업 사양을 조금 올렸습니다.
마란츠 튜너들은 정류,정전압 회로들 사양이 좋지 않은데
레귤레이터 tr을 1단에서 2단 달링턴식으로 바꾸고 출력단 앰프 쪽
정전압 회로도 달링턴 방식으로 바꾸었습니다.
사진의 tip127은 내부에 tr 2개의 달링턴 tr입니다.
기판 사정상 앰프 전원 쪽은 간단히 122 1개를 썼습니다.
122는 전류 증폭율이 2,500배 인데 출력 앰프 전원 tr은 100배 전후,
튜너 주전원쪽 tr은 60-80배 정도입니다.
전원의 리플은 이 전류 증폭율 배수만큼 줄어듭니다.
달링턴의 장점은 레귤레이터 tr 바이어스를 매우 작게 할수 있어서
리플도 그만큼 줄고 바이어스용 저항은 케페시터와 함께
리플 필터로 사용하므로 이 저항 값을 올리면 리플 필터 시정수를
케페시터 증량없이 대폭 늘릴수 있습니다.
리플 제거율이 전류 증폭율 배수만큼 즐어드는 것 외에
입력 바이어스 쪽 리플도 줄어들게 되어서 리플 제거율이 더욱 상승합니다.
튜너 전원 쪽은 고전류 증폭율 tr을 추가해서 전류 증폭율이
기존 60-80배에서 전류 증폭율 5백배 짜리를 추가하면 합 4만배가 되어서
리플 제거율이 4만배가 됩니다.
정전압 ic 리플 제거율이 2천배이니 그보다 훨씬 좋습니다.
반면 정전압 ic는 간단하고 nfb 방식이여서 출력 전압이 일정한 장점이 있습니다.
오디오용으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제너 다이오드식 정전압 정밀도이면 충분하고
전원 쪽에 임피던스,nfb 영향이 없는 단순한 방식이 더 좋을수 있습니다.
달링턴 방식으로 하면 출력 전압이 떨어져 보상해주어야 합니다.
거기에 기기 부품 소자중 가장 내압이 낮은 소자에 맞추어 마진 내에서 출력 전압을 좀 더 올렸습니다.
이러면 감도등 간단히 모든 성능을 올릴수 있습니다.
125는 정전압 회로가 2계통이여서 둑 모두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거기에 tr 바이어스를 정전류 fet 방식으로 바꾸어서 리플을 거의 완벽히 제거했습니다.
고급기급의 지나친 여유 스펙입니다만 그냥 스페셜하게 살펴드려봤습니다.
튜너,포노 mc는 매우 작은 신호를 파워 앰프 출력단까지
만배 이상 증폭하므로 리플도 만배 이상 증폭되게 됩니다.
스코프로 리플을 봐도 작업 전후 차이가 제가 가진 스코프 레인지로는 더이상 리플을 볼수 없습니다.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1차 정류,리플 필터 케페시터 용량을 2-5배 이상 증량 교환.
세계 최고 성능 수준의 삼영 nxb 사용.
우측은 출력단 앰프 기판인데 입축력 커플링 용량을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를
줄이기 위해 대폭 증량 교환했습니다.
테스트 해보니 다른 회로와 악영향은 없습니다.
전원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mpx 기판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
mpx 기판 실드 케이스 밑쪽 빼고 재납땜 & 세척.
일반 작업 옵션이여서 실드 케이스 밑쪽은 뒷심이...
쓰시는 튜너들이 안테나 단자가 대부분 75옴 커플링 식인데 125 경우는
단자 달 곳이 마땅치 않습니다.
기존 단자들은 모두 삭제 했사오니 새로 단 단자 쪽만 사용하세요.
정확한 튜닝 미터 동조 지점.미터마다 오차가 있어서 아나로그 튜너들은 사진을 올려 드리고 있습니다.
늘 이 지점에 튜닝하세요.
앞서 말씀드렸습니다만 125는 if 필터가 다단 코일 필터식인데 6개 묶음으로
밀봉되어서,열어도 내부 구조가 코일 탈거,수리가 생업상 불가능 하므로
코일 값 틀어짐을 대처할수가 없습니다.
대부분 125들은 시그널 미터 최고점과 정확한 튜닝 미터 중심점이 다른 것이
이 코일 틀어짐 때문인데 코일이 틀어지면 if 주파수 10.7mhz 동조에서 벗어난
주파수에 동조해서 코일 출력 측에서 취출하는 시그널 미터 값은
벗어난 주파수의 최고점을 표시하게 됩니다.
방송 신호는 10.7mhz에 있어서 벗어난 주파수에 검파 기준을 맞출수는 없어서
시그널 최고점과 튜닝 미터 중심이 다르게 됩니다.
코일 상태에 따라 편차가 있는데 이 기기도 조금 틀린데 그만큼이
코일 틀어짐으로 볼수 있습니다.
참고 되시구요.
시그널과 상관없이 튜닝 미터 중심에 튜닝하세요.
if 기판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검파 케페시터는 증량 교환.
if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일반 작업이지만 조금만 더더 하다가 다 떼워드렸습니다.
그외 튜닝 바늘,바리콘 링기어를 좌우측 마지막 지점에 맞추었습니다.
이것부터 하고 발진 회로,감도 조정에 들어가야 합니다.
*그외 작업 내역.
-발진 회로 로우,하이엔드 주파수,rf 트레킹 90-106mhz,데이터 주파수 96mhz 사용.
-스테레오 왜율 1khz 좌우 0.12% 이하 까지 얻음.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좌우 48-49db 이상.나쁜 쪽에 주고 받음.
-컨트롤류 모두 세척.
-스케일창,단자 청소.
-돌비 25us 출력 편차 0.0db 이내.
패널만 안다쳤어도 상태가 좋은 기기인데...위로나마 드립니다^^
추석 택배 대란으로 다음달 1일부터 접수가 되오니 좀 넉넉히 기다리셔서 받으세요.
비몽사몽해서 이만 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