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켄우드 리시버 KR6160 (2021년 1월) 일반

카테고리 없음

by *JukeBox* 2021. 1. 12. 08:17

본문

한쪽 채널 불량등으로 입고주셨습니다.

작업 전 사진들인데 그전에 파워 앰프,프리 앰프등이 수리가 되어 있네요.

 

구형 리시버들은 크기는 작고 간단해보여도 신형 리시버들 보다 훨씬 일이 많습니다.

부품들도 거의 50년 가까이 되어서 케페시터 TR류들은 모두 교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끈적한 기름 성분을 보면 그전에 컨트롤류 세척을 케이그 디옥싯으로 한것 같습니다.

푸시,업 다운 스윗치류 안에 뿌리면 나중에 끈적해져서 세척도 안되고

내부 스프링이 무력화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문제가 파워 앰프인데 그전 작업 이력이 심각하네요.

파워 TR들이 3종류로 교환되어 있는데 이 앰프는 대용량 PNP TR 제조가 힘든 시절에

 

NPN TR로만 파워 TR로 쓰는 이른바 세미 컴플리멘터리,방식으로 

NPN TR 한종류만 들어갑니다.

 

짐작컨데 한쪽 채널이 나가면서 바이어스용 온도 보상 다이오드가 나간줄 모르고

전원 넣고 파워 TR이 계속 나가자 이것저것 굴러다니던 TR을 다 쓴것 같습니다.

 

문제는 82볼트가 걸리는데 내압이 60볼트인 2N3055등을 달아 놓아서 

언제 또 나갈지 모릅니다.

 

제가 켄 TR형 파워 TR은 가진게 없어서 교환해드리고 싶어도 안되네요.

시중에 파워 TR은 대부분 짝퉁이여서 디지키,마우저에서 사야 하는데 

 

개당 9천원,만원 정도에 4개 사면 부가세,택배비 해서 만만치 않습니다.

일주일 정도 기다려야 하구요.

 

여유가 되면 많이 쓰는 품목당 10개씩은 구비해야 하는데

제 형편으로는 어림 없습니다.

 

당장 내일이 집세인데 돈이 없는데 어렵습니다.

파워 앰프 기판도 수리,리캡이 되어 있는데 저렇게 수리해서는 안됩니다.

 

문제가 바이어스 회로인데 온도 보상 다이오드가 나가자 사진처럼

일반 다이오드 두개로 대치 해놓았는데 저러면 바이어스가 부족해서 

작은 출력에서 찌그러집니다.

 

출력단이 세미 컴플리,P 채널은 인버티드 달링턴 식이여서 

P채널 바이어스는 0.65볼트,N 채널은 1.3볼트 정도가 필요해서 

 

총 2볼트 정도 전압 강하가 되게끔 다이오드 3개를 달아주어야 하는데

이 앰프는 바이어스 조정 어저스터가 없이 고정 저항식이여서 

 

어저스터 식으로 바꾸고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기존에 STV 온도 보상 시리즈는 다이오드 3개 내장 STV-3가 사용됐는데

 

이 STV 시리즈는 3개 내장이면 일반 다이오드 3개 연결보다 

전압 강하가 조금 작습니다.1.8볼트 정도 됩니다.

 

바이어스는 0.5볼트 차이로도 크게 차이나서 다른 사양으로 바뀔 경우

조정 어저스터를 달아주어야 합니다.

 

사진처럼 다이오드를 방열판과 떨어져 그냥 달아 두었는데

저렇게 하면 온도 보상이 전혀 안되어서 고출력때 파워 TR이 나갈수 있습니다.

 

해서 파워 앰프 기판은 비용,일이 커서 그냥 두었습니다.

이 앰프는 파워 TR 교환이 쉬운 편인데,

 

나사만 풀고 조이면 직접 손수 하실수 있습니다.

단 파워 TR과 방열판 사이에 투명 절연지를 빠트리지 않게끔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전원 넣는 순간 파워 TR이 광속으로 날아갑니다.

이 앰프는 N 채널 파워 TR만 써서 교환하기 더 쉽습니다.

 

디지키 검색하셔서 디지키 검색창에 MJ21194 를 4개나 

여유 분으로 8개 정도 사셔서 파워 TR 볼트 풀고 교환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전원은 오프도 아니고 안전을 위해 전원 코드를 빼고 하세요.

 

 

 

이 앰프는 구식 단전원,출력단에 대용량 커플링 케페시터 방식인데

출력단 전압을 전원 전압에 1/2로 맞추어 주어야 최대 출력을 최대로 얻을수 있습니다.

 

출력단 전압이 41볼트가 되어야 하는데 입고시 21볼트 정도로 

그전 수리 이력이 엉망입니다.

 

작은 출력에서는 몰라도 최고 출력은 절반 밖에 나오지 않게 됩니다.

 

 

 

한쪽 채널이 안나오는데 원인은 프리 앰프 TR 1개 불량 입니다.

그전에 커플링 케페시터 1개 교환한 흔적이 있네요.

 

터진 케페시터도 있고 안나간 다른 TR도 같은 시기 제조에 같은 스펙이여서

나간 TR만 재수가 없어 나간게 아니라 다른 TR들도 처지와 수명이 같을수 밖에 없습니다.

 

TR 6개 모두 오리지널 정품 저잡음 고전류 증폭율 TR로 교환.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 했습니다.세계 최고 성능 수준인 삼영 NXB 사용.

 

기판은 일부만 재납땜.

 

 

 

또 문제가 프론트엔드인데 가변 트리머들이 녹이 슬어서 불규칙하게 주파수가 변하고

튜닝이 크게 틀어집니다.

 

그전에 바리콘 링 기어로 튜닝 바늘 위치를 맞춘 흔적이 있는데 이 때문에 그랬을겁니다.

몇번 세척하고 건조,세팅을 반복 했는데 3단 밴드 필터들도 다 틀어져 하다가 지쳐서

다음 날 마저 했습니다.

 

최대한 맞추었습니다만 이 튜너 바리콘은 바리콘 회전 각도에 따라

바리콘 용량이 일정치 않아서 주파수 표기 창도 바리콘 회전각에 주파수 표기를 맞추는

이른바 비등간격식 인것을 볼수 있습니다.

 

주파수 표기가 낮고 높은 주파수 쪽에서 고루 맞지 않사오니 참고 되시구요.

 

 

 

구형 튜너들은 일이 많습니다. S 커브 검파 센터,왜율 코일,시그널,뮤팅 코일,

IF 필터 코일 3개 모두 동조,MPX 필터 코일,19,38KHZ 트랜스 모두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뒷면에 프리 파워 분리 연결 스윗치 포함 모든 컨트롤류 3가지 용제로 세척.

 

 

 

*그외 작업 내역.

-로우,하이밴드,RF 트래킹 90-106MHZ.

-스테레오 왜율 1KHZ 좌우 1.2% 이하 까지 얻음.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좌우 22DB 이상.나쁜 쪽에 주고 받음.

-스케일 창 청소.

 

다른 부분들은 막막하고 일이 많아서 그냥 두었습니다.

일단 이대로 잘 사용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