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같은 650,600 앰프 튜너를 레스터레이션 해드렸습니다만
제 일감을 주시려고 또 같은 앰프 튜너를 입고주셨습니다.
저로서는 매우 감사합니다만 너무 과다한 투자를 하시는건 아닌지
염치없이 걱정스럽습니다.
이 기기들은 상태가 매우 좋은 편인데 교환된 부품,수리 이력도 없고
볼륨 조명 전구 교환,간단한 컨트롤류 세척 정도만 되어 있습니다.
기판 납땜들은 자동 납땜들이 대부분 얇아서 오래되면 기판 변형으로
기판이 뒤틀리고 열에 의해 납땜 불량이 생기는데
납땜이 얇으면 부품들이 인두를 안대고 그냥 손으로 힘주어 빼면 쏙 빠집니다.
650 앰프인데 또 입고주셔서 이 기기는 좀 특별히 살펴드렸습니다.
파워 앰프가 구식으로 초단 차동 회로 정전류원이 간단히 저항식인데
tr + led 정전류원식으로 바꾸었습니다.
동상 제거비 향상으로 잡음,왜율등 향상을 기대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프리 드라이버 부하를 기존에 저항,바이페스 케페시터식 부트스트랩 방식을
tr + led 정전류방식으로 바꾸었습니다.
나이득 향상으로 nfb가 늘어나 왜율 감소,기존 650의 단점인 까칠하고 메마른듯한
음질이 nfb 증가로 부드럽고 섬세한 변화를 기대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트스트랩 보상용 케페시터를 생략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초단 차동 앰프의 부하를 기존의 싱글 엔디드 저항식을
커런트 미러 방식으로 바꾸어서 왜율,옵셋 보정 향상을 기대할수 있습니다.
기존 싱글 엔디드 방식을 커런트 미러 회로로 바꾸면 전류량이 2배가 되는데
그에 따른 슬루 레이트 보상,앰프의 밀러 케페시터 값등을 보정 해두었습니다.
한쪽 채널은 그대로 두고 왜율계로 여러 주파수 특성을 테스트해서 비교,
최종 컷트 & 트라이 했습니다.
그외 드라이버 이미터 저항 2개를 이 다음 세대 방식인 1개로 바꾸어
드라이버단 nfb가 없게 하고 컷오프 특성 향상,스피드업 케페시터를 추가해서 b급 작동시
고주파 왜율을 줄였습니다.
앰프 성능을 결정하는 프리 드라이버 tr을 이 용도로는 역대 최고 스펙인
tr을 전류 증폭율 선별해서 교환했습니다.
초단 차동 회로 tr 4개,그외 정전류원,커런트 미러 tr들도 모두 선별해서
좌우 성능 편차가 없게끔 적용했습니다.
뭐 케페시터 갈고,잔노가다는 따라해도 이런 디테일은 따라올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월드 베스트 라는 것인데 대부분 사용자분들은 잘 알수 없고 업자들도 이해를 못할겁니다.
각설드리고,
프리 드라이버 tr들은 지금은 구할수없는 그 시절 오리지널 재고품으로 교환했습니다.
요즘 사려면 개당 4-5천원 합니다.프리 드라이버 부하를 정전류 방식으로 바꾸어서
프리 드라이버 정전류 tr 2개도 같은 컴플리 페어로 전류 증폭율 선별해서 추가했습니다.
그외 과전류 검출 tr도 교환.
이 모자형 tr들은 초기 품번들로 불량율이 높아서 가급적 교환드리고 있습니다.
tr 리드도 요즘 tr처럼 구리가 아니라 철로 자석에 붙습니다.
한쪽 채널 완성 버전으로 1khz 8옴 부하 약 1왓트에서 작업한 쪽 왜율이 0.012%,
기존 채널은 0.029% 정도 나옵니다.
사진 맨 위에서 아래쪽 왜율계가 우측 채널로 작업한 수치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왜율계 입력을 좌우 바꾼 것으로 역시 작업한 쪽 왜율이 향상됐음을 알수 있습니다.
이 왜율계는 예전에 인켈 본사에서 나온 장비로 케이스 커버에 교정후 밀봉 봉인이 붙어있습니다.
그 아래 사진들은 36,46,56khz...고주파에서 작업한 쪽이 더 왜율이 좋음을 알수 있습니다.
대략 이 정도 버전으로 마무리하고,
입력 커플링 케페시터를 기존에 알루미나 탄탈 0.47uf를 비마 필름 4.7uf로
용량을 대폭 늘려 교환했습니다.
케페시터는 용량이 커질수록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이 평탄해지는데
특히 필름 경우 효과가 큽니다.
너무 늘리면 바이폴라 차동 입력은 옵셋 안정 시간이 길어져 절충해야 합니다.
초단 정전류 회로 추가.
프리 드라이버 정전류 회로.
초단 커런트 미러 부하 추가.
파워 tr + - 전원 쪽에 배선 임피던스에 따른 파워 tr 역위상 신호 바이페스용 케페시터 추가.
파워 tr 방열 그리즈 절연지 양면에 도포.
그외 전해 케페시터,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
세계 최고 성능 수준인 삼영 nxb 사용.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파워 tr 전원 쪽은 임피던스 악영향을 배려해 굵은 단선을 덧대어 납땜했습니다.
앞서 650처럼 전원 휴즈를 기존 100볼트용은 삭제하고 기기 내부에 있는 220용 휴즈를
기기 커버를 열지 않고 교환하실수 있게끔 변경했습니다.
파워 앰프 케페시터를 출고시 10,000uf에서 15,000uf로 증량 교환.
이 케페시터는 파워 앰프-스피커 간의 전류 흐름에서 직렬 저항과 같아서
용량이 클수록 초저역까지 고른 주파수 특성을 얻을수 있습니다.
고역 임피던스 보상용 필름 케페시터 추가.
릴레이 기판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프리 앰프 tr들을 전류 증폭율 선별한 tr들로 모두 교환.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커플링들은 음질을 고려해 용량을 늘려 교환했습니다.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포노 앰프인데 작업 내용은 프리 앰프와 같습니다.
초단 차동 회로 tr들은 에폭시로 붙히고 수축 튜브로 열결합 해두었습니다.
볼륨 조명 전구가 기존에 교환되어 있는데 밝기는 하지만
규격이 안맞아서 얼마 안가서 나갑니다.
앞서 650처럼 led로 바꾸어 드렸는데 황색 led는 밝지 않고
색감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휴즈류 세척.
650은 프리,포노,파워 앰프 초단 전원은 - 전원 쪽이 간단히 제너 다이오드 방식이여서
1차 정류,리플 필터 케페시터 용량들을 증량 교환했습니다.
그외 마이크 앰프,필터 회로 케페시터 모두 리캡.
터진 케페시터.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모든 컨트롤류 4가지 용제로 세척.
스피커 터미널 단자 볼트가 대부분 풀려 있는 경우가 많은데 조이고 락킹 페인트 발라두었습니다.
단자류 세척.
1khz 왜율 0.003% 이하 저왜율 시그널 입력,8옴 부하 약 1왓트시 왜율 0.013% 이하.
약 6왓트시 왜율 0.011% 이하.
약 15왓트시 왜율 0.017% 이하.
양채널 동시 구동 8옴 부하,1khz 왜율 1% 이하에서 최고 출력 약 65왓트 정도 나옵니다.
전원 트렌스,부품 오차에 따라 다르지만 650 최고 출력은 약 70왓트 정도인데
프리드라이버 정전류 회로 추가,정전류 회로 바이어스가 led 방식이여서
특성은 좋습니다만 전압 손실이 조금 커져서 최고 출력은 조금 줄어듭니다.
이 때문에 능동 부하 방식 앰프들은 전압 증폭단 전원을 더 높은 전압 회로로 별도 구성합니다.
프리 앰프 커플링 용량을 늘려서 초기 전원 투입시,톤 온오프,로우 페스 필터 초기 작동시에는
팝음이 나지만 케페시터 충전이 되면 사라집니다.앞서 650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