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트라우트 앰프 A1110 (2017년 4월 일반 모디)

카테고리 없음

by *JukeBox* 2022. 12. 19. 07:55

본문

오래 기다리시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요즘 막다른 민생고에 집안 일이 늘고 제 건강이 좋지 않아서

작업들이 더 늦어지고 있습니다.

 

한쪽 채널 찌그러짐으로 재입고 주셨는데 다행히 파워 tr등은 안나갔네요.

 

 

 

원인이 그전에 온도 보상 회로 tr의 전류 증폭율을 높히 써서

과열 작동에서 온도 안정성을 좋게 하려한 것이 너무 온도 보상을 많이 해서

바이어스 전류가 떨어져 그런 것입니다.

 

스트라우트들은 특징이 초단 증폭율에 비해 프리 드라이버 전류단의

전류량,이득이 매우 높습니다.프리 드라이버 정전류 부하를 독특하게

초단 회로에 변형 커런트 미러 회로로 푸시풀로 제어하는 방식인데

스트라우트 앰프들은 발진 마진이 매우 빠듯하고 발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 작동하다가도 어느 과부하,과열 작동에서 tr 열부하가 증가하면

순간적으로 열폭주가 일어나서 파워 tr등이 나갈수 있습니다.

 

 

 

사진은 예전에 다른 글에 올렸던 사진인데,

사진의 마크된 작은 케페시터가 발진 방지용으로 출고후 사양으로

일부 앰프들에 추가된 것입니다.

 

스트라우트 앰프들은 회로가 거의 비슷한데 일부 회로 값 변경으로

앰프 시리즈들이 이어지곤 했습니다.사진의 케페시터도 같은 1110도

없는 것이 있습니다.

 

사진 위의 케페시터는 프리 드라이버 정전류 부하의

고역 발진 개선용 케페시터로 이 케페시터가 없는 버젼은

어느 주파수,온도에서 급격히 발진,전류 증가를 하면 

전류 드라이버단의 바이어스가 크게 증가해서

파워 tr등이 순식간에 나갈수 있습니다.

 

아래 쪽 케페시터는 출력단의 nfb 회로에 추가된 케페시터로

역시 고역 발진을 줄이려고 출고후 추가된 케페시터 입니다.

 

1110은 출고 버젼에 따라 메인 nfb 회로 케페시터가 없는

버젼도 있는데 그대신에 nfb 저항값을 높이 쓰고

nfb 취부 지점을 스피커 셀렉터 측에서 하고

기판 잔류 용량,부유 용량으로 대치하려는 설계 의도입니다.

 

기판의 잔류 용량,배선 계통의 잔류 용량은

수pf-수십pf 용량도 되어서 nfb 저항 값을 높이 쓰면

5pf 이하의 작은 케페시터 용량으로도

충분히 고역 주파수 제한 값을 얻을수 있어 그럽니다.

 

이 케페시터 용량이 커지면 고역 nfb가 많아져

발진이 더욱 심해질수 있습니다.

 

그러나 잔류 용량 효과가 없거나 일정치 않으면

어느 조건에서 발진으로 앰프 손상이 될수 있는데

사진의 케페시터는 출고후 그런 문제로 다시 추가되었을겁니다.

 

제가 그전에 작업해드릴때는 이런 문제들을 보완해드렸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스트라우트 앰프들은 불안해서

이번에는 확실히 개선,조치했습니다.

 

 

 

과열 작동 조건에서 온도 보상율을 살펴 온도 보상용 tr 전류 증폭율을 다시 내린 것으로 바꾸어

적절한 보상이 되도록 했습니다.

 

 

 

스트라우트들은 바이어스 조정이 지원안되는데

그전에 조정식으로 바꾸어 드렸습니다.

이번에 프리 드라이버 전류를 줄여서 그전 값으로는 조정이 안되므로

다시 변경했습니다.

 

프리 드라이버 전류는 드라이버,파워 tr 요구 전류내에서

작을수록 고주파 성능이 좋아집니다.

대부분의 앰프들은 설계시 마진 배려로

매우 충분하고 너무 남는 프리 드라이버 전류 값이 대부분 입니다.

 

 

 

세밀하게 장시간 여러 주파수,왜율,과부하 조건등을 살펴 컷트 & 트라이 작업 했습니다.

 

 

 

기존 프리 드라이버 정전류 부하의 문제점은 이득 vs 전류량이

trade off 관계였는데 정전류 부하를 변경해서 모두 좋은 조건을 얻을수 있게끔

변경했습니다.더불어 안정성이 매우 좋아졌습니다.

 

정전류 부하 바이어스는 다이오드중에서 가장 정전압 특성,

잡음 특성이 좋은 led를 더 큰전압을 얻기 위해  2개를 사용해서

정전류 부하의 이른바 얼리 이펙트,선형성을 좋게 했습니다.

 

 

 

기판의 플럭스에 의한 잔류,부유 용량을 없애기 위해

극발암 물질인 시너,톨루엔 성분의 세척제로(저만 마시고 증발해서 없어짐^^)

반복 세척해서 플럭스를 완전히 제거 했습니다.

 

 

 

그리고 초단에 수mhz 이상의 고주파 컷트용 필터를 추가했습니다.

80년대쯤 앰프들 초단에는 기본으로 매달리기 시작한 필터입니다.

 

 

 

1khz 왜율 0.003% 이하의 저왜율 시그널 입력,8옴 부하,약 1왓트에서 왜율 0.03% 이하.

1110은 톤 컨트롤 바이페스가 없고 프리 앰프 왜율이 추가됨을 감안하면 좋습니다.

 

 

 

양채널 동시 구동,8옴,1khz 왜율 0.6% 이하에서 최고 실효 출력 약 100왓트 정도 나옵니다.

 

 

 

약 20왓트에서 왜율 0.015% 이하.

 

 

 

그외 모든 컨트롤류 재세척 해두었습니다.

재입고 작업이지만 하루 반나절 작업이였습니다.

 

지금 제가 상황이 매우 안좋습니다만 이 앰프는

폐업후에도 살펴드리겠사오니 혹시 문제있으면 들려주세요.

좋은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