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켈 튜너 T102 (2021년 9월 오버홀,모디)

카테고리 없음

by *JukeBox* 2022. 12. 19. 20:44

본문

오버홀 작업으로 입고주셨습니다.102는 국산 튜너중 쓸만한 기종인데 비용을 들여

오버홀해서 사용하실 분은 드물지요.오버홀 비용은 외산 튜너나 오버홀 해서 쓰려면

어차피 비용 들어가는 것은 같지만 102는 국산 튜너이지만 오버홀 해서 쓸만한 기종입니다.

 

웬만한 중급기급 외산 튜너 보다 사양,성능이 좋습니다.

뽑기 운에 따라 왜율이 0.05-0.1%대 이하,분리도 50DB 이상 나오는 102가 그간에 몇대 있었습니다.

 

102는 TD2000을 조금 사양 좋게 만든 기종인데 이후 모델인 7065,1221 튜너도 

회로가 맥을 같이 하고 7065도 실제 데이터가 왜율 0.1% 이하,분리도 50DB 이상등

매우 잘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1221은 스테레오 분리 IC가 고성능 산요 LA3400이 들어가는데 역시 분리도 50DB를

넘는 튜너가 몇대 있었습니다.

 

말이 왜율 0.1%이하,분리도 50DB 이상,웬만한 고급기도 못넘는 기기가 많습니다.

102는 요즘 시세는 모르겠습니다만 얼마전까지 중고 시세가 4-5만 형편 없는데 

이 가격에 가성비,내구성 짱인 기종입니다.

 

디엠퍼시스가 기기마다 실제는 들쑥날쑥한데 메이커 적용에 따라 고음 차이가 좀 나서

디엠퍼시스가 정직한 경우 단순히 톤으로 고음이 안나온다,썩었다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켈 튜너 910 경우 디엠퍼시스가 82US?인가로 고음이 덜 나와서 우리나라는

고음만 조금 안나오면 무조건 제끼는 경향이 많습니다.

 

유럽 튜너들은 디엠퍼시스가 50US인데 국내에서 수신하면 고음이 너무 많이 나오는데

예전에는 역시 유럽 튜너들이 음질 좋다,하는 풍토가 만연했지요.

좌우간 튜너나 앰프나 고음 조금 더 나오면 환장들 합니다.

 

그냥 톤 컨트롤이나 이큐 쓰면 더 좋고 똑같습니다.

튜너에서 디엠퍼시스로 고음 올리면 왜율,분리도만 뚝 떨어집니다.

 

102,TD2000은 디엠퍼시스 값이 정확히 75US여서 표준음에 가까운데

맹하다,고음이 안나온다로 인기가 없었지요.

 

TD2000은 안들어온지가 2년 넘은 것 같고 5년간 몇대도 안들어왔던 것 같습니다.

멸종한것 같고 102도 국산이라고 다 갖다 버려서 곧 없어질것 같네요.

 

각설드리고...

기기가 102 치고는 상태과 꽤 좋은 편인데 잘 구입하신것 같습니다.

 

 

 

검파 코일 분해 수리.카페 회원님께서 해외에서 어렵게 구하신 매우 귀한

-용량 온도 보상형 케페시터를 온도 보상이 잘되게끔 기판 위에 장착하고 용량 일정형은

병렬로 기판 밑에 달아두었습니다.

 

 

 

102는 단점이 컨트롤 텍트 스윗치들 불량이 많은데 이런 텍트 스위치들은 세척이 안되고

접점 구조가 소모품이여서 작동 횟수,수명이 있습니다.102는 20개가 들어가는데 

컨트롤 기판을 떼려면 전면 LED들 리드를 모두 떼내야 기판이 분리됩니다.

 

시세가 싼 국산이지만 웬만한 기기 수리비는 한 3만 5만 생각하는 시장에서

설명도 힘들고 스윗치 교환을 예전부터 5만원 별도 책정인데 5...소리가 끝나기도 전에

에라이 하고 가버립니다.

 

그런 이들이 혹시 수리점 차리면 바가지,칙칙이나 뿌리고 하이엔드면 백만원도 받을겁니다.

 

 

 

 

저는 납제거기를 저소득형 수동 펌프를 쓰는데 이럴때 손이 아파서 빈부차를 잘 느낍니다.

전동식 펌프는 백오십이 넘습니다.중국 짝퉁이 나오긴 하는데 그나마 살 형편이 안됩니다.

 

조립할때 다시 LED 리드들을 납땜 해주어야 합니다

 

 

 

 

*그외 작업 내역

-배리캡 전압 로우 하이엔드 87.5MHZ-108MHZ 초기화.

-RF 트래킹 로우 하이엔드 90-106MHZ 설정 RF 게인 동일.

-스테레오 왜율 1KHZ 와이드 밴드 0.09%-0.11%,네로우 밴드 0.16-0.2% 이하,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와이드 밴드 좌우 45DB,네로우 밴드 36DB 이상.

나쁜 쪽에 주고 받음.

디엠퍼시스를 62US 정도로 고음을 올려서 왜율,분리도가 조금 떨어집니다.

그외 102 경우 IF 필터 뽑기에 따라 네로우 밴드도 잘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튜너는 네로우 밴드가 좀 떨어지네요.

 

그외 102 출력 전압이 조금 작은 편인데 출력단에 별도 앰프,버퍼를 달아서

기존 500MV 정도에서 900MV 정도로 조금 올렸습니다.

유럽 튜너 경우 1볼트 이상,2볼트 이상도 있는데 음량이 커도 음질 좋다,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요즘 CD 소스들 출력 전압이 커서 예전 아나로그 기기들은 입력 셀렉터 바꿀때

음량차가 크게 납니다.전류 버퍼가 추가되어서 인터선 길이가 3M가 넘어도

튜너의 출력 임피던스는 낮아서 실드선 용량에 따른 고역 감소가 없습니다.

 

사진에 뒷면 레터링 일부가 지워졌는데 단자들을 라이터 기름,솔로 닦다가

라이터기름만 흘러도 지워지는데 SAE 시리즈 경우 뒷면 레터링이 잘 지워집니다.

 

작업후 출력 단자가 흔들거려서 접지측 단자가 깨진 것이여서 

시중 단자로 교환 했습니다.다행이 한세트가 있었습니다.

요즘 인터선들이 두꺼워서 예전 기기들 단자들은 한번 들썩하면 똑 부러집니다.

 

그외 AM 제외하고 전해 케페시터,반고정 저항,RF 트리머 모두 교환.

기판은 일부만 재납땜.

 

패널에 왁스발라 두었습니다.

디지틀 튜너중에 사용감,디자인의 안정감,전원만 넣어주면 전파 소스라는 것이

신경쓰이지 않게 조용히 작동 해주는 튜너입니다.

 

다른 102와는 음색이 빡소리 나게 다릅니다.

다음 주 중에 발송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