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켄우드 앰프 KA907 (2010년 8월) 오버홀

카테고리 없음

by *JukeBox* 2020. 12. 24. 15:22

본문

매우 잘만든 앰프인데 그전 작업이 너무 엉망이네요.

좌&우 짝작이 수리에 파워 앰프 경우 초단부터 전부 형번이 다른 것으로

들어가 있는데 그나마도 컴플리 페어가 아닌 것으로 마구 섞여 있습니다.

 

가장 치명적인 것은 발진이 나는 것을 잡지 못하고 꽁수로 프리 드라이버 tr 

부궤환 컨덴서를 무려 0.0068uf 용량을 달아놓았는데 수백배 이상 증량입니다.

 

이것은 넌센스로 앰프가 고역이 전혀 나오질 않습니다.

이 케페시터는 수pf만 올라가도 고역 특성이 크게 떨어집니다.

 

정상 값 적용후 살펴보니 파워 tr이 파손될만큼 발진 전류가 매우 심해서

아이들 전류 조정이 안되는데 각단에 걸쳐 발진이 너무 많이 납니다.

이것은 여러 부분에 고급 사양으로 적용한 실버 마이카 케페시터들이 

대부분 불량,전해 케페시터들 불량으로 모두 정상 복구되었습니다.

 

파워 앰프 경우 그전 작업 내역은,

좌 채널 초단 fet 좌 채널 2sk150으로 교채(출고시 형번은 upa109)

초단 차동 소자는 매우 중요해서 좌우 다른 형번을 사용하면 주파수 특성,

초단 전류가 틀어져 다른 앰프로 작동하는 것과 같습니다.

 

초단 fet 정전류 회로 tr도 좌우 다른데 발진 잡으려고 이것저것 교환한 것 같습니다.

2단 차동 회로 출고시 c1775를 좌측만 c3260으로 교채.

 

프리드라이버 a1125 차동 & 컴플리 페어 정전류 부하 c2633을

kse35 & d1138로 교채되어 있는데 프리드라이버는 고주파 특성,

발진,앰프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tr로 반드시 좌&우 같은 형번 

& hfe 랭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더구나 정전류 부하를 컴플리 페어가 아닌 & 주파수 특성이 낮고

대전류 증폭용인 대용량 드라이버 d1138이 들어가 있네요.

 

이 tr을 드라이버에도 써놨는데 시중 수리점들에서 고전압 대용량이여서 

만능 드라이버식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이 907 앰프는 그 시절 고급기답게 가장 고성능 tr들만을 골라서 사용한 것 같습니다.

드라이버도 좌측만 다른 형번으로 바뀌어 있는데 적절한 규격 & 역대 가장 고성능 

드라이버 tr로 모두 교채했습니다.

 

파워 tr 경우는 우측 채널이 1개만 다른 것으로 교채되어 있는데

하나만 나가도 아깝지만 모두 교환해주어야 합니다. 

마크레빈슨에 들어가는 mj15024&15025로 모두 교채했습니다.

 

 

 

드라이버 & 파워 tr 전력 증폭단 기판 작업 전후.

좌&우 드라이버 tr이 다르고 한쪽 채널 전해 컨덴서가 일반 그레이드로 리캡되어 있습니다.

 

오디오용 전해로 모두 리캡.드라이버 tr 모두 교채.

주요 저항 메탈 필름 오차 1% 1watt 저항으로 교채.

기판 모두 재납땜.

 

 

 

파워 tr 8개 모두 교채.온세미 제조인데 모토롤라에서 tr을 만들던 회사로

모토롤라가 tr 사업을 접으면서 온세미로 제조됩니다.

 

 

 

전압 증폭단 기판으로 초단 fet가 좌&우 다른 것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프리드라이버 차동 tr & 정전류 부하 tr도 좌우 다르게,이 용도가 아닌 것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그외 2단 차동 회로 tr & 초단 정전류 회로 tr도 좌&우 다른 것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발진이 일어나서 프리드라이버 부궤환 컨덴서에 무려 0.0068uf 컨덴서가

병렬로 들어가 있습니다.그것도 정전류 부하 tr에도 똑같이 달아놓았네요.

정전류 측은 아무 의미없습니다.

 

발진으로 바이어스 조정이 되지 않는데 바이어스 회로에 병렬로 다이오드들을

저리 달아놓았네요.

 

 

 

초단 fet들을 탈거하고 듀얼 fet를 구할수 없기 때문에 싱글 fet를

Vgs 선별해서 장착 했습니다.

 

파워 앰프 기판 작업 전후.

전해 컨덴서류 모두 리캡.신호단은 오디오용 전해 & 필름 사용.

반고정 저항은 고급형으로 교채.

정전류 부하 저항,케스코드 부하 저항,이득 관련 저항등 주요 저항은

오차 1% 메탈 필름 1watt 저항으로 교채.

 

 

 

열보상 stv시리즈 다이오드인데 그전에 이미 탈착하는 과정에서 리드가 많이 흔들려서

제 차례에 손대자마자 끊어졌습니다.

온도 보상 다이오드는 이제 없어서 일반 다이오드를 유용해 구석에 달아두었습니다.

 

 

 

 

전원단 기판을 작업 하려면 전력단 평활 컨덴서와 연결된 동세시를 분리해야 합니다.

 

 

 

 

파워 앰프 전압 증폭단 전원회로 & 프리 앰프 전원 회로 & 릴레이 회로 작업후.

전해 컨덴서류 모두 리캡.오디오용 전해 & 삼화 wb&rg 드레이드 사용.

 

전원 단자 & 출력 단자가 가까워서 발진 방지 & 고역 임피던스 보상용 필름 장착.

입력단 접지 고주파 바이페스용 컨덴서 필름으로 교채.

 

 

 

릴레이 3개 교채.

 

 

 

프리 & 톤 컨트롤 & 필터 앰프 기판 작업 전.

 

 

 

작업 후.

주요 컨덴서 오디오용 전해 & 필름 사용.그외 삼화 wb & rg 그레이드 사용.

무극성 컨덴서는 오디오용 전해로 무극성을 만들어 사용.

옵셋 조정 완료.컨트롤류 모두 세척.

 

 

 

 

기판 모두 재납땜.

 

 

 

뒷면 패널 측 포노 mm & mc 앰프 기판 작업 전후.

전해 컨덴서류 모두 리캡.신호단은 오디오용 전해 사용.

그외 삼화 wb & rg 그레이드 사용.

 

 

 

전해 컨덴서들 상태가 좋지 않은데 100uf 표기입니다만

용량이 0.001uf로 나오질 않습니다.

 

 

 

 

기판 모두 재납땜.

 

 

 

스피커 단자가 파손되어 있어서 a단자만 교채.

전원 전압 기존 120볼트에서 220볼트로 배선 변경해서 변경 해놓았습니다.

스윗치 선택만 바꾸면 240볼트가 되어서 앰프 최대 출력이 떨어집니다.

 

 

 

작업후 테스트.

위로부터 두번째 사진은 1khz 시그널 입력 & 8옴 부하 & 양채널 동시 구동 1watt 작동으로 

디스토션이 0.04%대인데 이것은 제가 실수로 깜박 로우 디스토션 시그널로 바꾸질 않고 

간이형 시그널을 넣은 것으로 시그널 디스토션이 0.04%대입니다.

 

즉 앰프 디스토션은 짐작컨데 1/100%대로 시그널 디스토션이 측정된 모습입니다.

 

최대 실효 출력시 디스토션으로 역시 양채널 디스토션 시그널 한계 값 이하입니다.

1khz 최대 실효 출력 양채널 동시 구동 8옴 부하에서 약 152watt 입니다.

 

 

 

 

예전에 사용하던 스코프를 날려먹고 고물 스코프로 버티고 있는데

화면이 좋지 않아서 요즘에는 스코프 사진을 올리지 않고 있습니다.

 

사진 위로부터 1khz & 10khz & 20khz & 100hz 스퀘어 웨이브 입력 파형으로

앰프의 주파수 특성,발진,과도 응답 상태를 알수 있습니다.

 

1khz 오버슈트,링잉,사그등이 없고 클리어 하고 

10khz & 20khz 약간 무디어집니다만 좋습니다.

100hz는 스코프가 좋지 않아서 주요 파형이 희미하게 보이는데

저역 손실은 없습니다.

 

작업량이 많아서 풀 작업 4일 정도 작업 분량은 되는 것 같습니다.

전류단 대형 평활 컨덴서는 크기 & 규격이 마땅치 않고

비용등으로 그냥 두었습니다.

 

기존에 잘못 수리된 작업 수정만으로도 그만한 가치는 있을 것 같습니다.

매우 잘만든 앰프이오니 오래도록 잘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