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그덴 (SUGDEN) 앰프 A48 (2017년 6월) 오버홀

카테고리 없음

by *JukeBox* 2020. 12. 25. 15:16

본문

오래 기다리시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이 기기는 70년대 출고된 기기인데 서양 쪽에서도 많은 작업,diy등이

엉망으로 되어 있습니다.

 

대형 케페시터 6개는 근래에 영국제로 서양에서 교환된 것 같은데

납땜,배선 작업도 엉망이고 그간 많은 작업으로 기판들을 뒤집어서

얇은 배선들이 거의 끊겨서 몇가닥만 매달려 있습니다.

 

파워 tr이 2개가 교환되어 있는데 컴플리 페어도 아닌 다른 형번으로

사진처럼 교환되어 있습니다.

 

그외에 파워 앰프 기판의 tr들이 좌우 짝작이 엉망으로 교환되어 있습니다.

일부 드라이버 tr이 소신호 고전류 증폭율 tr로 교환 되어 있고

작업자가 tr 용도를 잘못 알아서 정신없이 바뀌어 있습니다.

 

그외에 기판 저항들도 좌우 엉망으로 교환되어 있습니다.

유럽제 기기들은 제조시 서비스 작업을 고려치 않아서

 

분해 작업에 일손이 많이 드는데 이 시절 제조된 기기들은 더합니다.

거의 주먹 구구식 눈대중,땜방,가내수공업 수준으로 조립,세시 구성이 되어 있어서

사소한 부분도 몇시간을 소요하는등 이 작은 앰프 작업만 일주일을 했습니다.

 

첫 사진은 케이스 볼트가 인치 규격 육각 볼트인데

그전에 밀리 볼트 규격 육각 렌치로 돌려서 망가져 간신히 풀어냈습니다. 

 

 

 

이 앰프는 구식 회로로 단전원 방식을 사용해서 출력단에 전원 전압의 1/2 전압이 흐릅니다.

그래서 대용량 커플링 케페시터를 사용하는데 출고시 용량이 2,500uf 입니다만

 

전 작업자가 다른 전원 케페시터와 구색을 맞추려고 무려 10,000uf로 교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내압이 65볼트 이상여야 합니다만 40볼트 짜리로 교환되어 있습니다.

 

출력 커플링 방식의 파워 앰프는 음질 면으로는 이 케페시터 용량이 클수록

저역이 컷트되지 않고 좋습니다만 전원 인가시에 이 케페시터가 충전되기 전까지는

큰 전류가 흘러서 + 측 신호 파워 tr 수명이 짧아지게 됩니다.

 

한편 -측 신호 전류 증폭단은 이 출력 커플링 케페시터의 방전 전류를 이용해서

용량이 너무 작으면 - 신호 전류 용량이 작게 됩니다.

그 절충선이 2,000-2,200uf로 그시절 이 방식 앰프들은 대부분 이 용량을 적용합니다.

 

이 앰프 경우는 2,500uf로 상당히 큰용량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그전 작업자가 10,000uf로 교환을 해서 파워 tr들이

내부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원 인가시 큰 충격음,직류가 흐르는 시간이 커져서 스피커 손상이 될수 있습니다.

이 앰프는 그 시절로서는 고급 사양으로 전원 케페시터 용량이 10,000uf로

큰 용량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트렌스 케이스는 1개이지만 분리된 2개 탭으로 전원이 좌우 분리식입니다.

전원을 좌우 분리식을 사용하면 채널 분리도외에 대출력시에

좌우 다른 신호 증폭시 전류량 변화에 따른 악영향을 줄일수 있습니다.

 

 

파워 tr들이 소켓 식이 아니고 배선을 tr 단자에 직접 납땜하는 방식인데

배선이 짧고 분해 상태에서는 테스트가 안되는 구조여서 작업이 어렵습니다.

 

기존 배선이 너무 얇고 끊어져 있어서 모두 걷어내고 굵은 배선으로 교환했습니다.

기존에 파워 tr 쪽에 달려 있던 댐퍼 다이오드는 고성능 페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로

기판 쪽에 옮겨 달았습니다.

 

파워 tr은 마크레빈슨,크렐이 사용하는 모토톨라 mj15024,15025로 바꾸었습니다.

절연지는 열전달이 더 좋고 방열 그리스 도포가 필요없는 실리콘 패드로 교환.

 

 

 

 

출력 커플링 케페시터를 2,200uf + 470uf 로 교환.

외형이 맞지 않아서 기판을 짜서 스페이서로 고정했습니다.

 

 

 

출고시 70년대초 오차 10% 솔리드 저항이 사용됐습니다만

수리 작업에서도 솔리드 저항으로 교환된 것도 있습니다.

70년대부터 수리했다는 것이지요.

 

솔리드 저항은 잡음 특성이 가장 좋지 않습니다.

떼낸 저항들 오차를 살펴보면 매우 큽니다.

 

기판 쪽이 서커먼 쪽은 저항 열이 많다는 것입니다.

이쪽은 왓트 용량이 넉넉한 것으로 교환했습니다.

 

 

 

470uf 용량이 35uf-400uf,220uf 용량이 85uf등 전해 케페시터 모두가 좋지 않습니다.

저주파 특성을 결정하는 케페시터여서 초저역이 안나오게 됩니다.

 

 

 

입력 커플링이 0.1uf로 입력 임피던스에 따른 컷오프 주파수를 감안해도 용량이 너무 작습니다.

필름 케페시터는 주파수 vs 임피던스 특성이 협소해서 용량이 클수록 

전대역 임피던스가 평탄해집니다.

 

비마 필름 4.7uf로 증량 교환했습니다.

 

 

이 앰프는 구식 회로로 발진 마진이 매우 작아서 2단 증폭은 내부 용량 1.8pf,

차단 주파수 200mhz의 역대 이 용도로는 가장 고성능 tr을 전류 증폭율 170배 선별한

tr들로 교환했습니다.

 

지금은 구할수없는 tr로 수입해도 개당 5천원 정도 합니다.

그외 초단 tr 역시 지금은 구할수없는 그 시절 오리지널 수퍼 로우 노이즈 tr 들로

전류 증폭율 선별해서 교환했습니다.

 

 

 

드라이버 tr을 이 용량에서는 역대 가장 고성능 tr을 모두 선별해서 교환.

그외 tr들도 수퍼 로우 노이즈 tr로 모두 선별 교환했습니다.

 

이 앰프는 바이어스 회로가 tr식인데 바이어스 tr을 구조상 방열판에 밀착하지 못해서

그냥 기판에 달려 있는데 리드를 길게 연장해서 드라이버 tr에 에폭시로 붙혀 고정해서

열보상이 되게끔 했습니다

 

열 상승은 파워 tr 쪽이 훨씬 커서 열 상승에 작은 드라이버 tr에 고정되므로

tr 전류 증폭율을 좀 크게 잡아서 열보상을 배려 했습니다.

 

역시 테스트에서 대출력,장시간 작동시 열보상이 잘됩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파워 tr이 잘 나갑니다.

 

 

 

파워 앰프 쪽외에 다른 배선들도 모두 두꺼운 배선으로 교환했습니다.

 

 

 

일부 대용량 저항을 제외하고 저항들을 오차 1% 1/2-1/4왓트 메탈 필름 저항으로 교환.

잡음 특성,좌우 성능 밸런스가 매우 좋게 됩니다.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

 

이 기기는 저항 1개 교환하는데 시간이 두세배는 더 들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됐습니다.

일부 필름 케페시터 몇개 빼곤 모두 교환한 셈입니다.

 

반고정 저항은 기존에 생색용 조정식을

조립 후에도 조정이 가능하게끔 구조를 바꾸었습니다.

 

 

 

파워 앰프 기판 전류가 많이 흐르는 곳은 굵은 단선을 덧대어 두껍게 납땜해서 보강했습니다.

파워 tr 컬렉터 쪽은 임피던스 악영향을 배려해서 기판 패턴을 돌지 않고

공급 단자 쪽에 직접 납땜했습니다.

 

스피커 출력 쪽 배선 취부는 + - tr 중간에서 취부했습니다.

전원 단자 쪽에 임피던스 바이페스용 필름 케페시터 추가.

 

 

 

이 앰프는 주접지가 프리 앰프 출력 쪽에 세시 접지되는 식인데 매우 좋지 않습니다.

이렇게 하면 접지로 흐르지 못한 잡신호로 험이 생기거나

 

대출력시 출력 신호가 접지를 통해 프리 앰프,입력단으로 들어가서

발진,악영향이 있게 됩니다.

 

이 다음 세대 앰프들은 신호 레벨에 따라서 접지를 분리하고 파워 앰프 전원 쪽을

주접지-세시 접지를 하는 식으로 바뀝니다.

 

프리 앰프 주접지를 삭제하고 사진처럼 1접 접지로 바꾸고

주접지를 전원 - 단자 쪽에 바꾸었습니다.

 

스피커 쪽 - 배선도 이쪽을 사용해야 가장 좋습니다.

스피커 쪽으로 가는 배선도 모두 교환하고 좌우 분리,

바이 와이어링 식으로 1선씩 따로 연결했습니다.

 

 

 

그간 가혹한 작동,잘못된 작업으로 정류 다이오드 상태가 좋지 않을 것 같아서

대용량 고성능 페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로 모두 교환하고

다이오드 노이즈 컷트용 케페시터를 다이오드마다 추가 했습니다.

 

이 앰프는 전원이 좌우 분리식이여서 다이오드가 2배가 들어갑니다.

프리 앰프 전원 쪽으로 가는 저항을 원래 값으로 대용량으로 교환.

 

 

 

프리 앰프 작업을 하려면 기판이 전면 컨트롤쪽과 연결되어 있어서

패널 노브를 떼야 하는데 접착되어 있어서 빠지질 않습니다.

 

더이상 무리하면 노브가 깨지거나 컨트롤류들이 파손될듯 해서 그냥 두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전원 쪽은 2배 증량 교환.

그외 케페시터들은 주파수와 상관 있는 부분은 기판 밑에 추가로 덧대어서

설계시 값 유지 & 만약의 여유를 갖게 했습니다.

 

커플링 케페시터들은 비마 필름 4.7uf로 증량 교환.

그외 모든 tr들을 전류 증폭율 선별해서 교환했습니다.

 

 

 

촐고시 톤 앰프 tr 전류 증폭율 좌우 660배-710배,를 735배로 선별 교환.

프리 앰프 2단 버퍼 앰프 tr 출고시 550-560배,를 568배로 교환.

프리 앰프 초단 tr 출고시 580-650배를 565배로 선별 교환.

 

출고시 매우 전류 증폭율이 높은 tr들을 사용해서 이 tr들은 수퍼 로우 노이즈 tr들이

아닌 오리지널 모토롤라 고전류 증폭율 tr로 선별 교환했습니다.

 

 

 

포노 앰프 tr들도 모두 선별해서 교환.

증거 사진 입니다!

 

 

 

컨트롤류 모두 3가지 용제로 세척.

푸시 스윗치들이 이 스윗치는 세척액을 흘리면 리턴이 안되어서

그리스를 추가해서 세척했습니다.

 

 

 

1khz 왜율 0.003% 이하 저왜율 시그널 입력,8옴 부하,약 1왓트시 왜율 0.06% 이하.

 

 

 

1khz 약 7왓트시 왜율 0.06% 이하.

 

 

 

1khz 약 20왓트시 왜율 0.04% 이하.

 

 

 

1khz 8옴,왜율 0.9% 이하에서 최고 실효 출력 약 32왓트 정도 나옵니다.

240볼트 기기여서 조금 출력이 덜 나올수 있습니다.

 

메뉴얼에는 완전히 찌그러지는 클립 파형에서 35왓트로 되어있어서

거의 비슷합니다.

 

 

 

이 앰프는 프리 앰프 톤 컨트롤 플렛 조정 기능이 있습니다.

사진의 기판에 달린 반고정 저항 4개가 이 기능인데 음색을 결정하므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사진처럼 기존에는 한쪽 채널이 고음이 높습니다만

중음,저음,고음 사진의 파형처럼 조정했습니다.

 

 

 

이 앰프는 프리 앰프 톤 컨트롤 플렛 조정 기능이 있습니다.

사진의 기판에 달린 반고정 저항 4개가 이 기능인데 음색을 결정하므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사진처럼 기존에는 한쪽 채널이 고음이 높습니다만

중음,저음,고음 사진의 파형처럼 조정했습니다.

 

 

 

스피커 단자 플라스틱이 과자처럼 부서지는데 그전에 접착등 되어 있습니다만

모두 교환했습니다.배선들도 굵은 배선으로 모두 교환.

 

접지 배선은 출고시 1선으로 단자까지 와서 병렬 연결식인데

모두 바이 와이어링 식으로 2선씩 별도 취부해서 연결했습니다.

임피던스 특성,전류 용량이 더 좋게 됩니다.

 

이 작업만 5시간 이상을 했습니다.단자들 조임을 하기 힘든 구조여서

좁은 틈새로 간신히 조였습니다.

 

전원 스윗치 쪽에 단자마다 스파크 킬러 케페시터 추가 했습니다.

 

 

 

상부 커버 틈이 안맞는데 참고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