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기다리시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전원 인가후 튜닝 틀어짐등으로 입고주셨는데 이 기기는 튜너부는 튜닝 틀어짐 별도로
다른 쪽이 고장 상태이고 파워 앰프 수리가 그전에 너무 엉망이여서 다른 부분 손볼곳이 많습니다.
튜닝 틀어짐은 앞서 말씀드렸습니다만 튜닝을 하는 발진회로가 기기 내부 온도 변화에 의해
주파수가 틀어지는 경우는 대부분 아나로그 튜너의 흔한 문제로 .
발진 회로 온도 보상 케페시터 적용에 따라 편차가 있을뿐 고장으로 볼수 없습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서 아나로그 튜너 세대 말년에 서보락,쿼츠락 보정이
일부 고급 튜너에 탑재되었습니다.이 튜너는 비슷한 afc 기능이 있는데
뮤팅 스윗치를 누르면 그런 틀어짐이 보정됩니다.
afc를 켜면 예리한 튜닝이 힘들어서 튜닝 전에는 끄고 튜닝 후에 켜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 튜너는 그런 문제가 아니라 처음에 크게 틀어졌다가
조금 지나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이 튜너는 튜닝 방식이 바리콘이 아니라 발진 회로 전압을 가변 저항으로
조절하는 방식으로 원인은 공급 전압 변화는 없어서 발진 회로 베리캡 특성 불량일수 있는데
프론트엔드가 밀봉식에 이중 기판이여서 대작업이 되어서 생업상 어렵고
베리캡 불량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처음 사용시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에 금방 정상으로 돌아와서
별 문제는 없사오니 그냥 사용하세요.
작업전 사진인데 파워 앰프 쪽이 수리되어 있습니다.
그외 튜너 세라믹 필터 2개가 나가서 감도가 크게 떨어집니다.
전구가 교환되어 있고 이 기기는 튜너부 조정이 일손이 많은데 일부만 막조정이 되어 있습니다.
파워 앰프 쪽이 많이 수리되어 있는데 파워 tr들이 4개 모두 짝작이에
드라이버 tr도 짝짝이로 교환되어 있습니다.
파워 tr이 나가면서 프린트 기판 패턴이 타서 점프되어 있습니다.
그외 초단 tr 4개 모두 교환되어 있고 바이어스 회로 tr 2개,
우측 채널 과전류시 버이어스 컷오프 tr 1개가 교환되어 있습니다.
그외 아이들시 바이어스가 없어서 찌그러집니다.
파워 tr은 페어이지만 전류 랭크가 한쪽은 d,e로 각각 다른데 제가 가진게 이것밖에 없고
대용량 tr은 pnp형이 내부 칩이 작아서 실제 전류 증폭율은 더 커서 별 문제는 없고
실제 선별에서도 pnp 쪽이 작은 랭크가 맞는 경우가 많습니다.
드라이버 tr은 이 용량으로는 가장 성능좋은 것으로 교환했습니다.
바이어스 tr도 교환되어 있는데 모토롤라 이 시절 tr들은 리드 배열이 달라서
제가 가진 tr로는 방열판에 밀착하기가 어렵습니다.
전류 증폭율을 측정해보니 신기하게 맞아서 이 tr은 그냥 사용했습니다.
기존에 교환된 초단 tr들은 전류 증폭율 선별한 tr로 교환하고
온도 변화에 상보하게끔 에폭시로 붙히고 열결합 해두었습니다.
그런데 조립하고 바이어스 조정까지 끝내고 다른 쪽 작업을 하던중
아무 외부 충격이 없음에도 우측 채널 초단 전류 저항이 타버렸습니다.
프리 드라이버 tr이 불량인데 그전에 어떤 원인으로 손상이 있다가
이번에 완전히 나간 것 같습니다.거의 정확한 내용일겁니다.
별로 성능이 좋지도 않은 tr이여서 이 용도로는 역대 tr중 가장 고성능 tr로 교환했습니다.
바이어스 tr은 온도 보상이 잘되게끔 방열판에 에폭시로 접착했습니다.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세계 최고 성능 수준의 삼영 nxb,오디오용 전해 사용.
반고정 저항 교환.바이어스는 웜업후 온도 보상 전에 맞추었습니다.
세라믹 필터 3개중 2개가 나갔는데 3개 모두 교환했습니다.
이 세라믹 필터는 순간 리드간 숏트에도 나가는데 2개나 나간걸 보면
그전에 찍어보면서 숏트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작업후 감도가 올라가서 시그널 미터가 기존 레벨로는 꺽이는걸 볼수 있습니다.
검파 코일 90도 위상 쉬프트 조정을 if 리미터 포화 입력 이하 시그널에서
신호 상하 진폭으로 조정.이 기기는 튜닝 미터 센터 오차 수정 기능이 있어서
튜닝 미터 사진은 올리지 않았습니다.미터 눈금 중심에 튜닝하시면 됩니다.
포노 디커플링 케페시터를 5배 증량 교환.
그밖에 전원 회로 리플 필터 케페시터 증량 교환.
이 기기는 케페시터 상태가 좋지 않아서 모두 교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외에 파워 앰프 쪽 케페시터 1개는 내부 저항 증가로 발열이 많아져
기판 쪽이 그을인 것도 있습니다.
기판이 그을린 것은 이쪽이 아니고 이 사진은 위 사진의 케페시터 누액으로 기판이 변색된것입니다.
파워 앰프 대형 케페시터 1개와 정전압 회로 가로형 케페시터 1개 빼고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했습니다.정전압 회로 쪽은 같은 용량,내압은 부품이 있습니다만
보통 2배 이상 증량 교환 해드리는데 다른 용량은 부품이 없어서 그냥 두었습니다.
그러나 기존 케페시터 용량 측정을 해보니 아직 괜찮습니다.
반고정 저항 2개 교환.
텐드버그 경우 기판 납땜이 좋지 않아서 모두 재납땜 & 세척했습니다.
전구가 그전에 작은 것으로 교환되어 있는데 바꾸어보니 투과창이 어두워서인지
밝기가 차이없고 너무 어둡습니다.그래서 led로 바꾸었습니다.
두줄로 너무 많이 달아서 전구 전원 용량이 될까 싶었는데
출고시 전구 쪽 트렌스 용량이 커서 끄덕없네요.
led는 배전압 정류로 전압을 올려 밝게 달았습니다.
이 기기는 우드케이스가 아닌데 그 때문인지,전면 위쪽 패널 고정이 덜렁거립니다.
별 문제는 없사오니 참고되세요.
볼트들도 다 바뀌고 짝작이여서 바꾸었습니다.
*그외 작업 내역.
-튜너 서비스 메뉴얼 모든 항목 체크아웃.
-스테레오 왜율 1khz 좌우 1.4-1.5% 이하 까지 얻음.
이 튜너는 출력단 로우 페스 필터가 1단 이여서 왜율이 좀 높게 나옵니다.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좌우 35db 이상.나쁜 쪽에 주고 받음.
디엠퍼시스가 50us인데 국내 규격 75us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전보다 고음은 작아지고 저음은 올라가니 참고되세요.
-모든 컨트롤류 세척.
잘 사용하시고 혹 문제있으면 말씀주세요.
좋은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