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수이 리시버 9090DB (2017년 12월 일반,준 오버홀)

카테고리 없음

by *JukeBox* 2024. 8. 3. 11:29

본문

오래 기다리시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이 기기는 처음에는 파워 tr등이 나가고 좀 방치되어서 부식이 심한줄 알았습니다만

살펴보니 부식 정도가 너무 심합니다.

 

매우 오랜 기간 외기에 노출,방치된 기기 같네요.

모든 컨트롤류 접점들이 심하게 부식되어서 누차 강력 세척을 해도

개선이 어렵습니다.

 

먼저 전원 스윗치 부터 불량인데 전원은 들어와도

내부 접점이 좋지 않아서 서지 전압이 심하게 튀는데

스윗치를 새척해도 좋지 않아서 교환하려 했습니다만

스윗치 노브 쪽이 구할수 있는 스윗치들과는  맞지 않습니다.

 

외관은 괜찮은 편입니다만 속은 심각해서 정크 급에 가깝습니다.

그래도 잘 작업하면 되겠지,하고 시작했다가 고전해서

지난 달 24일부터 작업을 했습니다만 열흘 가까이 작업이 길어졌습니다.

 

요즘 건강이 좋지 않고 사정으로 예전만큼 작업을 못해서 더 길어졌습니다.

이 기기는 고장 수리,간단한 작업으로는 안되고 레스터레이션을 해야 합니다.

 

9090db는 9090보다 일이 많습니다만 돌비 기판을 제외하고

거의 레스터레이션에 가깝게 작업했습니다.

 

 

 

 

 

먼저 보호회로가 작동되어서 릴레이가 붙지 않는데 파워 tr이 한쪽 채널 4개가 나갔습니다.

9090은 전원 기판에 파워 앰프 전원 쪽에 휴즈 4개가 들어가는데 휴즈도 2개가 끊어져 있습니다.

 

그전에 파워 tr들을 풀었다가 다시 조여둔 흔적이 있습니다.

볼트들도 바뀌어 있고 뒷면 방열판 커버가 없습니다.

 

이 기기는 모든 컨트롤 기판,중간 패널도 분리한 흔적이 있고

여러 부분들을 분해한 흔적이 있는데 부품은 교환된 것이 1개도 없습니다.

 

컨트롤 기판을 떼어내야 끊어질수 있는 내부 배선들도 2개가 끊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전구도 교환한 흔적이 없습니다.

 

이곳에 입고되는 모든 기기들은 입고시 상태,그전 작업 내역들을

모두 올려 드리고 있습니다만 접점 부활제나 뿌리고 부품 한두개 갈고

그많은 세월들을 수리점만 전전한 기기들이 대부분 입니다.

 

그 시절 대용량 pnp형 파워 tr 제조가 힘든 시절에 npn형 tr만으로

전류 증폭을 하는 구형 9090과 달리 db 모델은 파워 tr이 npn,pnp 컴플리 페어 구성입니다.

 

같은 특성,바이어스로 + - 신호 선형성이 향상됩니다.

 

 

 

 

 

파워 앰프 기판인데 전류단 디커플링 케페시터 2개가 부풀어 있습니다.

오래 되어서 그럴수도 있는데 얼핏 짐작에 이 기기는 120볼트 설정을 220볼트에

연결해서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휴즈 저항들이 거의 모두 손상되어 있는것을 보면 그렇습니다.

그외 프리 앰프 전원 쪽 1차 정류 회로 휴즈 저항 2개도 나간걸 보면 그렇습니다.

 

120 설정에서 220에 연결하면 손상되는 부품들은 파워 앰프 대형 케페시터,

파워 tr,드라이버 tr,별도 분리된 정전압 전원을 쓰지 않는 대부분의 앰프 경우

프리 드라이버,초단 tr도 손상될수 있습니다. 

 

그외 프리 앰프 전원 회로의 1차 정류 회로도 손상됩니다.

오랜 시간 연결할 경우 전원 트렌스도 타게 됩니다.

 

9090 경우 문제가 대형 파워 앰프 케페시터인데 설치 위치,외형 규격 문제로

다른 케페시터를 유용하기 힘듭니다.

 

내압이 턱걸이로 사용 가능한 63볼트용을 러그에 맞게 유용해서

쓸수도 있는데 겸사 가진게 떨어지고 근래 형편이 좋지 않아서 부품을 못사고 있어서

파워 앰프 케페시터는 그냥 두었습니다.

 

일단 작업후 최고 출력까지 잘 나오긴 합니다.

 

 

 

 

 

구형 9090과 기판 외형은 같지만 일부 회로,부품 배치가 다릅니다.

초단 tr 4개를 전류 증폭율 선별한 tr로 바꾸었는데 열결합 하기가 힘들어서

사진처럼 애폭시로 붙히고 수축 튜브로 열결합 해두었습니다.

 

이 때문에 기판위 저항 일부를 기판 밑쪽으로 달았습니다.

휴즈 저항들이 거의 모두 나가서 1/2왓트 오차 1% 메탈 필름 저항으로

모두 교환했습니다.

 

휴즈 저항은 이때쯤 많이 쓰였는데 오래 사용하면

저항값이 올라가서 이후 기기들은 사용치 않습니다.

오히려 휴즈 저항 불량으로 손상되는 기기들이 많습니다.

 

전해 케페시터,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

외산 고급 케페시터들과 실측 테스트해서 한번도 진적이 없는

삼영 nxb,오디오용 전해 사용.

 

전류 증폭단 디커플링용 케페시터는 기존 330uf에서 470uf로 증량 교환했는데

전원 인가시 옵셋 안정 시간이 길어지지만 이 기기 경우 릴레이 작동 시간을

좀 더 늘려주면 더 좋은 사양이 됩니다.

 

컨트롤류 접점들도 부식되어있는데 반고정 저항들 접점 역시

부식으로 모두 교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이 기기는 바이어스 회로가 다이오드+저항 식이여서

반고정 저항 접점이 좋지 않으면 단번에 파워 tr이 나갈수 있습니다.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그러나...

 

 

 

 

 

 

전원을 넣자마자 퍽하고 연기가 나면서 테스트용으로 쓰는 파워 tr 4개가 모두 나가버렸습니다.

개업후 테스트용 파워 tr을 한번도 날려 먹은 적이 없었는데 처음 날려 먹었습니다.

 

귀한 오리지널 파워 tr 일 경우 먼저 테스트용으로 테스트해서 바꿔 쓰고 있습니다.

돈이 없어서 비싸게 산 파워 tr을 날려 먹으면 큰일이여서 테스트용을 먼저 쓴게 천만 다행입니다.

 

테스트전에 기존 모든 부품들을 점검했습니다만 이상했습니다.

나간 원인을 알수 없습니다.이번에는 드라이버 tr 1개도 나갔는데 줄줄이 나간 경로를

확인하면 바이어스 쪽이 원인이지만 바이어스 회로도 이상 없습니다.

 

다행으로 드라이버 tr 나간 것이 다른 작업에서 떼낸 것이 꼭 맞는게 있습니다.

그렇지 않았으면 드라이버 4개 모두를 다른 것으로 셋트로 교환해주어야 합니다.

성능면으로는 제가 가진 tr들이 훨씬 더 좋습니다.

 

혹시나 이럴때를 위해 챙겨둔 tr 1개가 제조사,전류 랭크,생산 번호까지 똑같습니다.

다시 모두 샅샅이 재점검해서 조립하고 손 떨면서 전원 스윗치를 넣었는데...

사람은 돈이 없으면 간이 작아집니다.

 

 

 

 

 

그럼 그렇지...잘 작동하고 바이어스 조절도 잘됩니다.

그런데 아까는 왜 나갔을까,불길함이 있었는데,

웜업후 바이어스 조절하려고 조금 틀어두었는데 또 불쇼가 나면서 똑같이

새로운 테스트용 파워 tr 4개가 모두 나가고 기판이 타고 말았습니다.

 

이번에는 바이어스 컷오프 회로 쪽도 손상되었습니다.

파손된 부품들을 따라 경로를 추적해보면 원인은 바이어스 쪽인데

온도보상 다이오드,반고정 저항 접점 문제외엔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9090db는 구형과 달리 바이어스 회로가 tr식에서 다이오드식으로 바뀌었습니다.

회로도엔 tr로 나옵니다만 출고후 다이오드 식으로 사양 변경 되었습니다.

 

이 온도보상용 다이오드는 이른바 stv 시리즈로 저항값을 측정해보면

stv-3시리즈,내부에 다이오드 3개를 직렬 사용하는 규격입니다.

 

테스터로 측정해보면 정상 값이 나오는데 그전에 파워 tr이 숏트되면서

-쪽 드라이버 tr 숏트,그래서 이 다이오드에 대전류가 흘러 손상되었을수도 있습니다.

 

대전류가 흘러 내부 접합부 접착 부위가 접불이면 간헐 불량으로 오픈 상태가 될때

풀 바이어스가 걸려 단번에 전류 증폭단 tr들이 나가게 됩니다.

 

문제가 이 다이오드는 구할수 없어서 일반 다이오드를 사진처럼

만들어서 드라이버 방열판에 에폭시로 단단히 붙혀 달았습니다.

 

온도 보상이 전용 다이오드 보다는 떨어지지만 표면적이 넓어서

더 좋을수도 있는데 테스트에서 헤어드라이어로 달구어 보면

온도,바이어스 보상이 훌륭합니다.

 

한쪽만 나갔어도 양쪽 모두 온도보상,바이어스가 같게끔 양쪽 모두를

똑같이 해주어야 합니다.

 

더이상 아니 땐 굴뚝은 없다,원인은 이것밖에 없다로 위안하며

다시 손떨면서 전원을 넣었는데 다행히 잘 작동합니다.

부하 물리고 최고 출력까지 가혹하게 작동해도 잘됩니다.  

 

 

 

 

 

파워 tr을 마크 레빈슨에도 들어가는 mj15024,15025로 교환.

2000년에 모토롤라가 tr 사업을 접으면서 매각한 자회사 온세미 것입니다.

즉 2천년 이후 모토롤라 tr은 없습니다.

 

맨 아래 사진은 짝퉁 모토롤라 15024,25인데 모토롤라 마크가 찍혀 있지만

앞자리 01,04 번호가 2001,2004년 생산됐다는 시리얼로 가짜입니다.

모토롤라 마크가 있는 것은 앞번호가 99까지가 진품이고 이후 생산품은

on 온세미 마크가 찍혀야 합니다.

 

저런 tr들이 시중에 돌아다니고 이베이 검색 절반은 짝퉁입니다.

각설드리고,

 

절연지를 열전도가 좋고 방열 그리스 도포가 필요없고 실리콘 패드로 교환.

방열판에 써멀 그리스 도포 조립.

 

파워 앰프 복구하고 이제 소리라도 들어보자,했습니다만

이번에는 프리 앰프가 조용합니다.튜너 전원도 나갔습니다.

 

 

 

 

 

프리 앰프 전원 쪽 부품들이 나가서 전원 공급이 안됩니다.

 

 

 

 

 

전원 회로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

리플 필터 케페시터들은 용량을 2배 증량 교환.

케페시터 리드 쪽에 힘이 가해지지 않게끔 기판 구멍에 맞추어 리드를 꺽어 장착.

이런 사소한 부분들도 다릅니다.

 

파워 tr 무극성 바이페스용 케페시터는 기존 전해 4.7uf에서

필름 1uf로 교환.고역 특성이 좋은 필름 1uf이면 충분합니다.

 

그외 휴즈류 모두 교환.

모든 커넥터 핀들은 세척액을 부어 끼우면서 세척,조립했습니다.

 

파워 앰프 기판 커넥터 핀들도 세척,기판 쪽도 조립하면서 핀쪽에 세척액을 부어서

여러차례 세척해서 조립.

 

 

 

 

 

 

전원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패널,노브류 물 세척,

 

 

 

 

 

프리 앰프 기판인데 산수이 이 시리즈들은 5050 까지 프리 앰프에 ba312라는 ic를 사용하는데

불량율이 매우 높습니다.증상은 신호가 간헐적으로 끊기고 잡음이 나거나

릴레이 불량 증세와 비슷하기도 하고,증상이 없어도 한달에 한번 증세가 나올수도 있습니다.

 

마란츠 구형 리시버도 이 ic를 사용하는데 예전부터 이 ic가 들어가는 기기들은

출고후 이 ic 문제로 간헐 불량,민형사상 문제가 많아서 작업을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미리 말씀드려도 괜찮다,감수하겠다,하셔도 출고후 결국 울그락 송사가 생깁니다.

저로서도 베스트셀러인 마란츠 구형 리시버들,산수이 *0*0 시리즈는 작업을 못하니

할일이 줄어들지요.

 

구형 기기들만 작업해서 작업하는 기기가 얼마 안되는데, 

이 시리즈들까지 작업못하면 더욱 힘들어집니다.

 

다행히 웹에서 이 ic 내부 회로도를 구해서 별도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격은 두개 교환에 5만원인데 9090은 포노 앰프까지 사용해서

포노 앰프까지 교환하면 10만원 추가가 됩니다.

 

이 ic는 예로부터 해외에서도 구하기 힘들고 데이터시트도 없습니다.

이베이에도 없습니다.내용은 간단한 tr 3개의 전압 증폭 앰프인데

ic 경우 문제가 저잡음,고전류 증폭율,고주파 tr 내장이 힘들고 부품간 편차가 커서

이리 만들어 쓰는 것이 더 좋을수 있습니다.

 

그외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삼영 nxb,오디오용 전해,입력 커플링은 필름 사용.

출력 커플링은 음질을 고려해 증량 교환.

케페시터는 용량이 커질수록 고주파 임피던스 특성이 좋고

전대역이 평탄해져서 주변 회로가 허락하는한 크게 쓸수록 좋습니다.

 

켄우드,텐드버그,.야마하 고급기들은 커플링을 220-470uf까지 쓰기도 합니다.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톤 컨트롤 가변 저항,스윗치들이 접점이 좋지 않아서 한참 세척했습니다.

 

 

 

 

 

그런데 톤 앰프 tr들은 깜박 교환치 않아서 조립후 추가 교환했습니다.

기존에 사용된 tr을 전류 증폭율 측정해보면 420,280배로 편차가 큽니다.

 

 

 

 

 

 

톤 앰프 tr을 선별한 tr로 교환.

nfb식 톤 앰프는 톤 컨트롤 증량시에는 nfb가 작아져 왜율이 증가하는데   

귀로는 잘 몰라도 좌우 특성이 같아지게 됩니다.

 

 

 

 

 

돌비 기판 셀렉터인데 db 모델 문제가 이 셀렉터 접점 문제가 대부분 심각합니다.

돌비 회로를 사용치 않아도 모든 신호가 이 셀렉터를 통과해서 이쪽에서 접불이 나면

대책이 없어서 db 모델은 한때 작업 중단을 했습니다.

 

분해 세척이 일손이 많고 해도 개선이 안되거나 작업중 파손되면 큰 낭패입니다.

이 셀렉터 역시 문제가 많아서 누차 아세톤등으로 강력 세척했습니다만

역시 접점이 좋지 않습니다.

 

일단은 신호 접불이 안나는듯 합니다만 셀렉터를 천천히 돌려보면

접점 문제가 바로 나옵니다.이것은 어쩔수 없사오니 혹시 신호 접불이 생기면

셀렉터를 좌우로 부드럽게 움직이여서 사용하세요.

 

이 셀렉터 외에 입력 셀렉터는 더 심각합니다.

 

 

 

 

 

모든 컨트롤류를 4가지 용제로 세척.

 

 

 

 

 

릴레이,보호 회로,레벨 미터 기판 케페시터,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

릴레이는 팝음을 고려해 출고시보다 조금 천천히 붙게 했습니다.

 

릴레이 접점 세척,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포노 앰프,입력 셀렉터 기판인데 프리 앰프처럼 ic를 교환했습니다.

포노를 안쓰실수도 있지만 혹시 차후에 쓰시거나,차후에 ic 불량을 고려해 교환했습니다.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출력 커플링은 증량 교환.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튜너 전원 기판 tr 3개 모두 교환.대형 레귤레이터 tr은 안나갔지만

tr 방열판 볼트가 풀려 방열판이 덜렁거려서 tr 내부 접합부 불량이 생겼을수 있습니다.

특히 이 기기는 튜너 레귤레이터 tr 드롭아웃 전압이 30볼트가 넘어 발열이 많습니다.

 

전해 케페시터,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

전압은 조정식인데 메뉴얼엔 12.5볼트로 나옵니다만 대부분 튜너는 13-14볼트 까지 마진이 있습니다.

마진내에서 높이 쓸수록 좋습니다.13볼트로 조정.

 

 

 

 

 

입력 셀렉터인데 누차 강력 세척,틈새로 핀을 닦고등 해봤지만 접불이 개선이 안되어서

결국 분해 세척,핀 위치 수정했습니다.

 

그럼에도 조립후 개선이 안되어서 다시 탈거,조립을 두번 더 했습니다.

그러나 역시 접점이 좋지 않아서 조금은 접불이 있는데 억스,포노 쪽을 살살 돌려보면

접불 증세가 나옵니다.더 이상은 개선이 안되오니 잘 달래서 사용하세요.

그러나 쓰실만 할겁니다.

 

 

 

 

 

 

 

이제 튜너 쪽만 복구하면 되겠구나,막바지 작업에 들어갔습니다만

튜닝 미터가 고장입니다.복구해보려 살펴봤습니다만 내부 얇은 코일이 끊어져

이 미터는 수리 불가입니다.

 

http://ebay.auction.co.kr/?dir=shop&itemID=112453678140

http://ebay.auction.co.kr/?dir=shop&itemID=302551685177

http://ebay.auction.co.kr/?dir=shop&itemID=253243745515

 

이베이에 있긴 있는데 혹시 구하셔서 나중에 가져오시면 달아드리겠습니다.

 

 

 

 

 

 

안테나 단자 부식이 심해서 75옴 커플링 단자를 달아 두었습니다.

기존 단자들은 정제파비,외부 잡음등을 고려해 모두 제거했사오니

새로 단 단자만 사용하세요.

 

그외 단자류 세척.외부 외에 내부도 부식이 되어서 단자 일일히

rca 잭을 꽂아서 세척액을 부어 세척했습니다.

 

 

 

 

 

 

튜너 문제가 소리가 매우 작은데 검파 코일을 복구해도 검파 출력이

떨어져 파일럿 신호 레벨이 작아서 스테레오가 안됩니다.

 

if 앰프 게인도 충분하고 검파 코일 동조가 되어도 코일 불량인지 

검파 출력이 떨어집니다.

이 코일은 교환해야 하는데 s커브 방식이여서 코일이 없습니다.

 

이 코일 외에 뮤트,시그널용 코일도 불량이여서 스테레오 불량,

뮤트 회로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회로 사양을 일부 변경해서 복구 했습니다.

그외 am 회로 제외하고 전해 케페시터,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

 

am 회로 제외하고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그외 다른 기판 전해 케페시터 교환.

 

 

 

 

 

 

조명을 녹색을 말씀주셨는데 9090은 전구 전압이 교류 7볼트로 되어 있습니다만

전원 트렌스,가정 전압 오차로 6볼트 조금 넘습니다.

 

직류로 바꾸어도 12볼트용 led 스트랩 전압에 부족해서 밝기가 떨어집니다.

9090은 전면 스케일 필름이 청색이여서 녹색 led를 투영해보니 밝기가 떨어지면

얼룩지고 청색이 더 많이 나옵니다.

 

정류 회로를 배전압 회로로 전압을 올려 밝게 했는데

led 전류가 많아서 전원 트렌스 용량이 딸려 전압이 떨어집니다.

 

배전압용 케페시터 용량을 2200uf로 증량해보니 10볼트 이상까지 안떨어져

밝기가 충분해졌습니다.

 

 

 

 

 

 

그외 셀렉터,스테레오,튜닝 바늘 전구 모두 교환.

 

 

 

 

 

 

9090은 레벨 미터 전구 교환이 일손이 많은데 차후 교환이 쉽게끔 연장 배선 해두었습니다.

전구마다 밝기가 달라서 전구 밝기가 적절하게끔 저항값 변경.

 

미터 안에 녹색 전구 커버가 내장되어서 옅은 녹색입니다만

녹색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717 튜너등도 이런 방식입니다.

 

구조상 led로 변경은 어렵습니다.

전구 작업만 할일없이 하루 정도 했습니다.

 

레벨 미터는 부하 물리고 1왓트,10왓트를 기준으로 맞추었습니다만

대부분 이런 간이형 미터들이 그렇듯 낮고 높은 쪽이 고루 맞지 않사오니 참고되세요.

부하 물리고 rms 미터로 조정해주는 곳은 국내에 없을겁니다.

 

 

 

 

 

사진은 녹색이 흐리지만 실제는 녹색이 밝습니다.

 

*그외 튜너부 작업 내역.

-로우,하이 엔드,rf 트레킹 주파수 90-106mhz,rf 게인 동일.

왜율,분리도 기준 주파수 96mhz 사용.

-스테레오 왜율 1khz 좌우 0.18-0.22% 이하까지 얻음.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좌우 37db 이상.나쁜 쪽에 주고 받음.

 

빈티지 기기들은 주기적으로 재점검이 대부분 필요해서

대형 케페시터,튜닝 미터 쪽은 나중에 들려주시면 작업해드리겠습니다.

 

잘 사용하시고 혹 문제있으면 말씀주세요.

좋은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