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수이 리시버 7070 (2020년 4월 오버홀)

카테고리 없음

by *JukeBox* 2024. 9. 4. 23:00

본문

작년에 어머니 떠나시기 전에 선금주시고 맡겨주신 기기인데

작업을 못해드려 너무 오래 기다리시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사진은 작업 전인데 이 기기는 오랜 세월 여러번 손을 본 흔적이 있습니다.

비교적 근래에 작업한 흔적이 있는데 파워 앰프,전원단등을 수리한 흔적이 있습니다.

 

 

 

 

 

파워 앰프 케페시터인데 출고시 10,000uf가 5천uf 전후 나옵니다만

간이 테스터기로 측정 주파수가 120hz여서 1khz에서는 용량이 더 작게 나옵니다.

 

15,000uf로 증량 교환하고 기판 밑 높이가 낮아서 작은 용량이나마

고주파 보상용 필름 케페시터를 덧대어 두었습니다.

 

전해 케페시터는 구조상 고주파 인덕터 용량이 커져서

고주파 임피던스가 커지는데 이것을 보상합니다.

 

파워 앰프 전류 흐름을 간단히 보면 파워 tr은 전원과 스피커 간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소자일 뿐입니다.

 

전원의 고주파 임피던스가 커지면 이것이 파워 tr의 컬렉터 부하 저항이

되는데 작은 저항값으로도 스피커와 역 위상인 큰 출력이 나와서 

 

nfb,파워 앰프 전압 증폭단 계통으로 흘러들어가면

발진,신호 왜곡이 생깁니다.

 

파워 앰프 케페시터 용량이 5,000uf 이면 8옴 스피커라면

20hz 저음에서는 9.6옴 스피커를 쓰는 것과 같고

 

15,000uf이면 8.5옴 스피커를 쓰는 것과 같습니다.

 

 

 

 

 

 

주기판 전원 회로,파워 앰프 출력 쪽이 그전에 저항들이 많이 교환되어 있습니다.

산수이 이 시리즈는 그 시절 이른바 휴즈 저항을 많이 사용하는데

 

휴즈 저항은 오래 쓰면 저항값이 올라가는 불량이 많습니다.

그 때문에 휴즈 저항이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 다음 세대에서는 휴즈 저항을 거의 쓰지 않습니다.

그전에 교환된 저항들을 더 큰 용량,메탈 필름 1.2왓트 오차 1% 저항으로 교환했습니다.

 

접착제로 부식된 저항 교환.

큰 전류가 흐르는 곳의 납땜이 얇아진 것이 많은데 이런 부분들은

 

작은 저항으로도 악영향이 커서 별도 배선으로 기판 프린트 패턴을 보강했습니다.

그전에 파워 앰프 출력단 발진 방지 저항이 교환되어 있는데

 

아마 파워 앰프쪽 휴즈 저항 문제들로 발진했거나등으로 교환된것 같습니다.

 

 

 

 

 

정전압 기판인데 저항이 여러개 교환되어 있는데 문제가 그전에

프리 포노 전압이 나오지 않아서 전류 저항을 줄여 강제로 올린 흔적이 있습니다.

 

원인은 레귤레이터 tr 전류증폭율 저하인데 프리 포노 전원 리플이 커집니다.

모두 복구해두었습니다.

 

 

 

 

 

정전압 회로 레귤레이터 tr외에 달링턴,비교회로 tr등 모두 교환했습니다.

거기에 특별히 튜너 전원을 달링턴,fet 정전류식으로 해서

 

전원 리플을 완전히 제거했습니다.

그에 맞게 출고시 전압으로 정확히 맞추었습니다.

 

 

 

 

 

 

정전압 회로 레귤레이터 tr외에 달링턴,비교회로 tr등 모두 교환했습니다.

거기에 특별히 튜너 전원을 달링턴,fet 정전류식으로 해서

 

전원 리플을 완전히 제거했습니다.

그에 맞게 출고시 전압으로 정확히 맞추었습니다.

 

 

 

 

 

파워 앰프 작업 전 사진.

그전에 저항들이 많이 교환되어 있습니다.

 

산수이 이 시리즈들은 대부분 휴즈 저항에 의한 고장이 안난게 없을겁니다.

일부 전해 케페시터들도 교환되어 있는데 특성이 좋지 않은 것이여서

 

모두 떼내고 삼영 nxb로 교환했습니다.

 

 

 

 

 

nfb 회로 저역 주파수용 케페시터는 무극성으로 만들어 달았습니다.

앰프 전원 투입,오프,또는 어떤 원인으로 출력단 전압이 이 케페시터 극성과

 

역전이 되면 케페시터가 나가는 경우가 있는데 예전에 뮤피 a1이 그랬습니다.

병렬로 고급기처럼 고주파 보상용 필름을 덧대어 두었습니다.

 

그전에 메탈 필름 저항도 사용되어 있는데 오차 5%여서

오차 1%로 교환했습니다.

 

 

 

 

 

 

초단 차동 회로 tr을 전류 증폭율 선별한 tr로 교환하고 온도 변화에 상보하게끔

에폭시로 붙히고 수축 튜브로 열결합 해두었습니다.

 

출고시 기판이 초단 tr 묶음 하기가 힘든데 일부 저항을 밑으로 옮겨 달아서

초단 tr들을 열결합 했습니다.

 

 

 

 

 

 

파워 앰프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파워 앰프 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

바이어스는 웜업후 온도 보상전에 해두었습니다.

 

입력 커플링은 비마 필름 4.7uf로 교환.

출고시 입력 임피던스를 높히고 커플링 용량을 작게 쓰는 방식인데

 

케페시터 용량은 단순히 컷오프 주파수로 빠듯하게 맞추면

전단 출력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따라 변하면 컷오프 주파수가 변할수 있습니다.

 

또 너무 늘리면 전원 인가시 출력단 옵셋 안정 시간이 길어지지만

음질면으로는 커플링 용량은 클수록 좋습니다.

 

 

그외 초단 tr의 잡음 map 특성이 좋은 영역으로 되게하는

초단 임피던스 보상 저항,바이어스,부하저항등 주요 저항은

 

저항중 가장 저잡음인 메탈 필름 1/2-1/4왓트 저항으로 교환했습니다.

 

 

 

 

 

 

이 기기 뿐 아니고 대부분 부식이 심해서 파워 tr 소켓을 세척제를 흘리고

tr을 뺐다 꽂았다 세척했습니다.

 

파워 tr 절연지를 기존 마이카에서 열전도가 좋고 방열 그리스 도포가 

필요없는 실리콘 패드로 교환.

 

방열판에 그리스 도포 조립.

 

 

 

 

 

 

포노,컨트롤류 기판인데 이쪽도 그전에 수리한 흔적이 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셀렉터 작동시 접접 잡음을 컷트하는 전자식 뮤트 회로가 달려 있는데

 

포노 1,2 선택시 뮤트 잡음을 상시 작동으로 변경한 흔적이 있습니다.

다른 셀렉터 작동시에도 오히려 팝음이 더 나는데

 

작동하면서도 조용하게 조치해두었습니다.

 

 

 

 

 

9090도 그렇고 이 시리즈는 전면 기판,컨트롤 기판 작업이 일손이 많이 듭니다.

그런데 대박이 포노 1,2 셀렉터를 사진처럼 교환한 흔적이 있는데

 

스윗치 리드가 이처럼 긴것이 없어서 리드를 늘려 달아줄어야 합니다.

전면 나사 고정용 브라켓도 다르네요.

 

기판에 가접한 상태로 스윗치 높이를 맞추어 달아주어야 합니다.

 

 

 

 

 

 

포노 앰프,마이크 앰프 기판 입니다.

 

 

 

 

 

그전에 포노 앰프 모든 tr을 교환한 흔적이 있습니다.

사용된 tr이 범용 1815,1015 컴플리 셋트인데 이 tr은 고주파 성능도 좋고

 

잡음 성능도 좋은 편이지만 포노 앰프등 고성능 저잡음 성능에는 많이 부족합니다.

또 포노 앰프는 고전류 증폭율이 필요한데 전류 증폭율도 떨어지고

 

내압이 30볼트로 내압 마진이 거의 없습니다.

 

모두 전류 증폭율 선별 tr로 교환했습니다.

그외 뮤트 회로 역바이어스용 tr은 내구성이 떨어지는 품번에

 

오래 사용해서 이 tr은 작은 불량으로도 신호 불량이 생겨서

교환했습니다.나중에 뮤트 회로 스위칭용 tr 2개도 추가로 교환했습니다.

 

 

 

 

 

 

포노 앰프 기판을 특별히 저항을 모두 메탈 필름 1/2-1/4왓트 오차 1%로 교환해드렸습니다.

오디오 기기들 최저 잡음은 저항 잡음으로 결정되는데 포노 앰프는 파워 앰프까지

 

증폭도가 만배 전후여서 작은 잡음도 만배 증폭되어서 매우 커집니다.

입력 커플링은 비마 필름 4.7uf 사용.

 

입력 커플링의 누설 전류도 만배 증폭되어서 포노 앰프 입력 커플링은

저누설 오디오용 전해보다도 필름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저주파 컷오프를 결정하는 nfb 케페시터는 요즘 케페시터 용량이

표기보다 오차 내에서 작게 나와서 출고시 값에 여유가 있게끔

 

기판 밑에 추가 용량을 덧대어 두었습니다.

 

 

 

 

 

뮤트 회로 스위칭 tr도 교환.

 

 

 

 

 

마란츠 2325,2250등도 그렇고 산수이 9090등은 프리 앰프에 ba312 ic를 쓰는데

이 ic 불량율이 매우 높습니다.이 ic는 내부가 op amp ic가 아니고

 

간단히 tr 3개의 앰프 구성입니다.

예전에 이 ic 불량 때문에 이 ic가 들어가는 기기들을 작업 중단을 했는데

 

작업을 못하는 기기들이 너무 많아서 일이 없어서 고민하다가

웹에서 이 ic 내부 회로도를 구해서 따로 만들었습니다.

 

오래전에 날잡아서 여러개 만들어둔 것인데

예전에 잠실살때 만든것입니다.

 

ic는 고전류 증폭율,저잡음,고주파 특성이 좋은 tr을 내장하기

힘들어서 이처럼 분리식으로 만드는 것이 더 좋을수 있습니다.

 

더 좋은 부품들로 정확히 내부 회로대로 만들어서

더 좋습니다.

 

 

 

 

 

프리 앰프 기판 저항들도 모두 메탈 필름 저항으로 교환해드렸습니다.

이 저항 교채 작업은 리캡 작업보다 일손이 훨씬 많습니다.

 

작업비가 이 정도 기판은 10만원은 되야합니다.

 

 

 

 

 

톤 앰프 tr도 전류 증폭율 선별 tr로 교환.

입력 커플링은 오리지널 비마 필름 4.7uf 사용.

 

이베이에서 개당 5천원 정도 합니다.

 

 

 

 

 

기판 작업이 많다보니 배선들이 떨어지고 손상이 되어서 교환.

원래 길이가 짧아서 기판 작업이 어려운데 차후 작업이 쉽게끔

 

길이를 조금 늘려 교환했는데 성능에 지장은 없습니다.

이득 보상용 케페시터는 앞서 포노 앰프 케페시터처럼

 

설계시 주파수 값에 여유가 있게끔 기판 밑에 추가 용량을 덧대어 두었습니다.

 

 

 

 

 

프리 앰프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모든 컨트롤류 4가지 용제로 세척.

이 기기는 컨트롤류 세척이 일이 많아서 세척 주기가 길게끔 4가지 용제로 세척했습니다.

 

 

 

 

 

안테나 단자를 75옴 커플링식 단자로 교환.

기존 300옴 단자등은 정제파비,잡음 채집등 악영향이 없게끔 삭제 했사오니

 

새로 단 단자만 사용하세요.

 

 

 

 

 

 

튜너 기판인데 그전에 코일들이 수리되어 있습니다.

 

 

 

 

 

 

튜너 기판인데 바리콘이 부식되어서 바리콘 세척.

am 제외하고 전해 케페시터,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

 

디커플링,커플링들은 음질을 위해 대폭 증량 교환.

디엠퍼시스 스윗치가 기판에 있는데 부식되어서

 

75us 위치에서 50us로 작동해서 고음이 많고 저음이 작습니다.

세척했습니다.

 

 

 

 

 

뮤트 회로 기판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납땜 작업이 많다보니 사진처럼 납 찌거기들이 많이 나옵니다.

기판을 박박 누차 세척해도 찌거기들이 남는 경우가 있습니다.

 

눈이 잘 안보여서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튜너 기판 am 제외하고 모두 재납땜 & 세척.

 

 

 

 

 

튜닝 센터를 if 리미터 이하 작은 신호 입력에서 신호 상하 진폭,왜율계로 최적화.

이 튜너는 if 필터가 세라믹 필터 5개나 쓰는 기본 필터가 네로우 밴드식입니다.

 

if 앰프는 선형성이 좋은 차동 2단에 최종 리미터 방식 ic 앰프 1개를 씁니다.

if 구성은 상당히 좋습니다.

 

검파 방식은 if ic가 이른바 커드레처 검파가 내장되어 있지만

별도로 선형성이 좋은 s 커브 검파 방식입니다.

 

 

 

 

 

정확한 튜닝 미터 동조 지점.미터마다 오차가 있어서 아나로그 튜너들은

사진을 올려드리고 있습니다.

 

늘 이 위치에 튜닝하셔야 최고의 왜율,분리도를 얻을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튜닝 미터 바늘이 휘어 있는데 그전에 조명 쪽 작업을 하면서

그런것 같습니다.이 미터는 매우 작은 전류로 작동하는 식이여서

 

바늘을 조금만 삐끗해도 내부 스파이럴 스프링과 연결 배선이 망가집니다.

손대면 자칫 망가져서 열지 않는게 좋습니다.

 

미터 바늘을 펴고  페인트는 그냥 매직으로 발라두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습니다만 이 페인트는 손만대면 우수수 떨어집니다.

 

앞서 말씀드린 시그널 미터 뒷면 그늘은 그전에 내부 눈금 패널을

접착제로 붙힌 흔적으로 개선이 안되오니 감수하시고 사용하세요.

 

 

 

 

 

그전에 전구를 led로 교환해놓았는데 일부는 나가고 연결부 접점이 좋지 않습니다.

저도 led로 교환했는데 led는 확산성이 떨어져 전구 사이가 어두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이 기기는 전구간 거리가 멀어서 전구간 그늘이 좀 보입니다.

이것을 개선하려면 예전에 제 작업처럼 스트랩식 led로 상하 2줄로

주욱 달아주어야 합니다.

 

정류 회로도 만들어야 하고 스트랩식 led가 12볼트 직류식이여서

정류 회로도 배전압 회로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일손이 많고 다른데서 다시 떼는 분들이 많아서 중단했습니다.

 

 

 

 

 

 

튜닝 포인터,셀렉터,스테레오 전구 모두 교환.

사진은 간단해보여도 일이 많습니다.

 

전구 작업만 이틀이 걸렸는데 제가 몸이 안좋아서

일을 많이 못해서도 그렇습니다.

 

 

 

 

 

 

산수이 이 시리즈는 레벨 미터 전구 교환이 일손이 많습니다.

차후 교환이 쉽게끔 배선들을 연장해두었습니다.

 

전구가 접착제로 굳어서 안으로 떨어져서 미터도

분해해서 기존 전구를 빼냈습니다.

 

 

 

 

 

그외 패널,노브류 하나하나 닦고 왁스 발라두었습니다.

 

 

 

 

 

단자류 세척.

 

 

 

 

 

 

다 조립했는데 띨하게 사진에 스윗치들을 상하 거꾸로 조립해두어서

로우 필터가 오디오 뮤팅으로등으로 작동됩니다.

 

다시 패널,노브,기판 다 떼고 제대로 조립했습니다.

 

 

 

 

 

 

사진에 전원 코드를 동봉 주셨는데 출고시 전원 코드가 괜찮은데

교환할 필요가 없습니다.보내주신 코드도 별로 안좋습니다.

 

*그외 튜너부 작업 내역.

-로우 하이엔드,rf 트래킹 90-106mhz,데이터 주파수 98.5mhz 사용.

-스테레오 왜율 1khz 좌우 0.74% 까지 얻음.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좌우 45db 이상.나쁜 쪽에 주고 받음.

 

제가 몸이 안좋고 일할 정신이 안되는 것도 있지만

보름 작업을 했네요.

 

하루 정도 테스트해서 아마 문제없이 오래 잘 작동할겁니다.

택배가 우체국은 방문 접수는 안하고 cj 택배는 접수하면

 

3-4일후에 방문,그나마도 예약일에 안오고 다음 날에 오더군요.

좀 넉넉히 기다리셔서 받으세요.

 

너무 오래 기다리시게 해드려 거듭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