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오래 기다리시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연기가 나고 릴레이가 붙질 않는데 겸사 레스터레이션 작업으로 보내주셨습니다.
스피커 a 단자 커버 4개가 사진처럼 턱이 모두 깨져 잘 빠집니다.
이것은 조치할 방법이 없어서 그냥 두었사오니 가급적 b 단자를 사용하세요.
이 기기는 그전에 너무 험하게 작업이 되어 있는데 릴레이 커버 4개가 모두 깨져 있습니다.
502 릴레이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것은 구할수없는 구형 릴레이가 들어간 기종으로
릴레이가 파손되면 큰일이 됩니다.기판을 떼어서 분해하면 되는데 일이 많아져
밖에서 커버를 깨서 빼냈네요.
커넥터 선들이 납떔 인두로 녹아있는데 릴레이 커버를 인두로^^ 녹여 떼내려다 그런 것 같습니다.
릴레이 4개 세척 해놓았습니다.
502 케페시터는 좋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470uf 용량이 1khz에서 130uf 정도 나옵니다.
470uf->340uf
그외 기존에 전해 케페시터 1개가 교환되어 있습니다.
연기가 나는 것은 릴레이 관련 회로의 tr 1개가 나가고 주변 저항이 타서 그럽니다.
그외 좌측 채널 출력단에 직류가 -5볼트가 나와서 보호 회로가 작동합니다.
초단 듀얼 fet를 가지고 있던 중고품으로 교환해봤는데 조금 차이가 있을 뿐 조정되지 않습니다.
그외 릴레이가 붙지 않는 원인을 한참 찾다가 사진의 제너 다이오드 1개 불량 원인을 찾았습니다.
기판 구조상 트러블 슈팅이 힘듭니다.
방열판에 붙은 서미스터와 연결된 보호회로용 제너다이오드인데 이것이 불량으로 앞서 tr이 나갔습니다.
이제 릴레이는 붙습니다만 왼쪽 채널이 여전이 불안합니다.
원인을 한참 찾았는데 원인은 사진의 4j2 점프선 납땜 불량입니다.
502는 양면 기판인데 상부의 점프선 납땜 불량이 원인 이였습니다.
사진은 얼핏 땜이 문제없어 보입니다만 상하부 기판 프린트가 도통이 안됩니다.
502는 궤환 회로에 케페시터가 없는 직류 이득이 있는 앰프입니다.
궤환 회로를 컷트하면 출력단이 -볼트가 되어서 관련 tr들 전류 증폭율을 측정해봤습니다.
떼어냈다가 좌우 적절히 맞게 바꿔 끼면 좋습니다.
사진은 없습니다만 2단 차동 회로 tr들도 떼어 냈다가 괜찬아서 다시 조립했습니다.
프리 드라이버 tr들은 서로 맞게 바꿔 끼웠습니다.
전원단 & 정전류 회로 저항이 그을려 교환했습니다.
중요한 nfb 회로 저항인데 한쪽이 오차가 커서 오차 1% 메탈 필름 저항으로 교환했습니다.
사진의 저항도 오차는 5%이지만 메탈 필름 저항입니다.
그 시절 세계적으로도 드물게 인켈 기기들은 메탈 필름을 사용했습니다.
메탈 필름 저항은 잡음 특성이 가장 좋습니다.
전압 증폭단,전원 기판으로 전해 케페시터,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했습니다.
국산품중 가장 고성능인 삼영 nxb & 오디오용 전해,입력 커플링은 필름 사용.
파워 케페시터에 고역 임피던스 보상용 필름 케페시터 추가.
이쪽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드라이버 & 출력단 기판.
502는 출력단이 4조 병렬식으로 출력 임피던스가 4배로 낮아지고 댐핑 펙터는 4배 증가,
출력 tr의 선형성 향상,대전류 고온시 좋은 선형 구간 작동등의 고성능 구성입니다.
파워 tr 전류 증폭율을 측정해보니 n&p 채널 파워 tr 들이 같은 y랭크 임에도
n 채널은 45-60배,p 채널은 150배 전후로 오차가 큽니다.
그시절 산켄이라서 오리지널인데 다른 502도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산켄 tr 제조시 문제입니다.
그러나 502는 병렬 구성을 감안해 이미터 저항을 1옴을 써서 전류 증폭율 오차
배려가 되어 있습니다.그러나 가급적 같을수록 좋습니다.
전류단 기판 전해 케페시터 필름으로 교환.이 케페시터는 전원-파워 tr 간의 배선 계통에 따른
임피던스 증가에 의한 역위상 신호를 바이페스하는 것으로 상당히 중요한 케페시터입니다.
파워,드라이버 tr들은 또 한 시즌을 위해 모두 절연지 양면에 방열 글리즈 도포해서 조립했습니다.
cpu 글리즈 사용.
이쪽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스텐바이,일부 전원 회로기판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
휴즈류 샌드 페이퍼로 세척.
기판 재납땜 & 세척.
502는 좌우 채널 앰프를 + - 신호 분리 증폭해서 스피커에서 결합되는 이른바 btl 변경이 지원됩니다.
사진은 btl시 한쪽 신호를 역 위상 -신호를 만드는 기판으로 입력 커플링 필름으로 교환했습니다.
그외 기판들 모두 재납땜 & 세척.
휴즈류 샌드 페이퍼로 세척.
모두 천천히 끊어지는 슬로루 블로우 타입 휴즈입니다.
전면 전원 스위치쪽 플라스틱 커버인데 그전에 부러져 조치한 흔적이 있습니다.
스피커 led 2개를 제 시그니처로 녹색으로 교환했습니다.1개는 그전에 교환되어 있네요.
그외 텍트 스윗치류 모두 교환.
전면 기판 전해 케페시터 모두 오디오용 전해로 교환.그외 반고정 저항 4개 모두 교환.
전면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8옴 부하,1khz 신호 입력,왜율 0.5% 이하에서 최고 실효 출력 약 220왓트 정도 나옵니다.
200왓트 제 더미로드가 과열되어 타는 냄새가 납니다
출력이 클립되면 켜지는 피크 레벨 조정.
출력 실표기로 led 조정.
led가 입고시에도 전원 인가시 릴레이 붙기 전 직류 출력으로 잠깐 레벨 상승 하강이
좌측만 켜지는데 이것은 별 상관없사오니 개념치 마시고 사용하세요.
8옴 부하,1khz 신호,최고 출력 & 클립 파형으로 잘 나옵니다.
윗면 커버 볼트 4개가 탭이 넘어가서 헛돌아서 큰 볼트로 채결했습니다.
sae 볼트들은 탭이 귀해서 볼트 구하기가 힘듭니다.
나미저 볼트들은 말씀주셨습니다만 가지고 계셔서 일부 공란이오니 차후 채결하세요.
방열판 열이 많은 편인데 502는 바이어스 조정이 고정식으로 어저스터가 없습니다.
바이어스가 좀 높은 편인데 이 정도면 성능면으로 과히 높지 않은 것으로
502 방열판이면 이보다 배로 올려도 앰프가 날라갈 일은 없사오니 걱정마시고 사용하세요.
방열 글리즈를 새로 발라서 더 날겁니다.
사정으로 4일 작업을 했는데 트러블 슈팅이 까다로워
풀작업으로도 3일 작업 분량인 것 같습니다.
월요일에 발송 드리겠습니다.좋은 주말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