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기다리시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전원 온 후에 10초 정도후 작동,if 밴드 표시 램프 1개 어두움,수신 감도,주파수 밀림등으로 입고주셨습니다.
917 경우 전원 쪽에 지연 회로가 있어서 전원 인가 후 각 회로 전압 안정,국부 발진 회로 전압 안정,
mpx 대용량 커플링 케페시터등을 고려해 늦게 전원이 공급되는 고급 구조라서 정상입니다.
예전에 작업했던 917은 30초 정도나 된후 켜져서 수리를 했습니다만 정상이오니 편히 사용하세요.
저도 지연 시간을 잘 몰라서 마침 같이 입고된 917과 비교해보니 지연 시간이 두 기기가 똑같습니다.
그외 if 표시 led는 일체식 led 모듈&기판식이여서 교환이 불가능합니다.
1개가 어둡습니다만 구할수없는 부품이오니 감수하시고 사용하세요^^
주파수 밀림 관련은 917 경우 발진 회로가 밀봉되어서 88-108mhz 구간 폭을 맞출수가 없습니다.
한 방송국에 맞출수는 있습니다만 좌우 고르게 맞출수 없습니다.
그외 바리콘 회전 각에 따른 용량 편차로 다른 튜너들도 방송국 표기가 정확히,고르게
맞는 경우는 귀합니다.그러나 70년대 중반 이전 튜너들이나 보급형 튜너,라디오등을 보면
주파수 표기가 등간격이 아니고 구건에 따라 좁고 넓습니다.
70년대 후반 부터는 일제 튜너들이 바리콘 회전 편차를 줄여 등간격 표기가 되었습니다만
그래도 꼭 맞지는 않습니다.이 관련 당시에 메이커들이 등간격 표기,등으로 좋아졌다고 광고를 했었습니다.
각설드리고,
밀봉된 발진 회로의 코일 용량에 따라 같은 917이라도 오차가 생기는데
작업 후 이 정도이면 잘 맞는 편이오니 편히 사용하세요.
그외 시그널 표기가 덜 올라가는 것은 917 경우 시그널 표기가 실 입력 표기입니다.
고급 옵션으로 일반 튜너들은 시그널 표기가 50-70db 입력에서 거의 최고가 됩니다만
917은 dbf 단위로 낮은,높은 각 표기에서 별도 실입력 표기 조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시그널이 덜 뜬다고 감도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오니 편히 사용하세요.
그러나 기존 조정이 틀리게 되어 있습니다.
이 기기는 rf 외에 모든 부분들이 싸그리 돌려져 있는데 싸그리 엉망으로 조정이 되어 있습니다.
예전에 917 이전 버젼인 9800과 더불어 몇대 작업한 적이 있는 기기입니다만
워낚 복잡한 기기에 갈수록 해드가 엉망이라서 기기가 거의 새롭습니다.
이런 기기는 작업 전 반드시 회로 분석이 필요합니다.
9련 바리콘.7단 밴드 필터에 2단은 발진 회로용이고 믹서 회로가 밸런스 방식에
각 회로의 철저한 디커플링,좋은 전원 공급을 위해서 각 회로 전원마다 정전압,리플 필터 회로가 달려 있습니다.
if 회로.지금은 구할수 없는 소우 필터를 4개 사용합니다.
와이드 밴드 1개,노멀 밴드 2개,네로우 밴드는 4단계 필터링이고
이후 전 밴드 필터가 감쇠도는 작지만 선형성이 좋은 코일 필터를 4개 통과합니다.
소우 필터는 감쇠도가 세라믹 필터보다 크고 코일 필터처럼 선형성도 좋은 고급 필터입니다.
검파 회로 기판 사진은 없습니다만 켄우드 만의 펄스 카운트 방식입니다.
별도 발진 회로,믹서로 if 주파수를 낮추고 펄스 수로 검파하는 방식으로
pll 검파보다 우수한 방식에 틀어짐 문제가 없습니다.
mpx 기판으로 mpx 기판만 어지간한 고급 튜너 총 물량보다 부품이 많습니다^^
1차 전원 기판으로 역시 어지간한 고급 앰프보다 고급 방식입니다.
이외에 각 기판에 분리식 정전압 회로들이 달려 있습니다.
발열이 많은 쪽 전해 케페시터 몇개가 구이가 되어 있습니다.
사용 시간이 좀 많은 기기 같습니다.
mpx 입력 커플링 용량이 무려 470uf 무극성 전해입니다.
출력 커플링 용량 역시 470uf 대용량인데 뮤트 회로 작동시 대용량 케페시터 충전에 따른
팝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별도 커플링용 소용량 케페시터를 릴레이로 스위칭하는 고급 방식입니다.
커플링 용량은 음질면으로 클수록 좋은데 특히 출력 임피던스가 높은 소스 기기일 경우
출력 커플링 용량이 작으면 저역이 컷트됩니다.
if 밴드 표기용 led가 사진처럼 특주품으로 다른 led로 교환이 안됩니다.
기판을 걷어내고 다른 led를 기판을 짜서 달면 전면 외관이 좋지 않습니다.
ddl 회로 발진 주파수 서비스 메뉴얼대로 조정.
그전에 주파수가 엉망인데 테스트 포인트 신호가 작아서 주파수 카운터로는 측정이 안되기 때문에
메뉴얼대로 별도 ssvm 미터 내부 앰프를 이용해서 조정해야 합니다.
ddl 회로 리서쥬 파형인데 테스트 포인트 두곳 전압이 작아서인지 메뉴얼 사진과 꼭 맞지는 않습니다.
pll 회로로 mpx ic를 유용하는데 이것은 주파수 2배,위상 90도를 맞추라는 것으로 이 조건만 맞추면 됩니다.
국내에서는 쓰지 않는 별도 부가 정보 기능 sca 회로가 작동치 않습니다.
필요없는 기능입니다만 작동하게끔 해놓았습니다.
fm 시그널 제네레이터에 별도 모듈레이션 신호를 입력해야 조정할수 있습니다.
희안하게 이 기기는 싸그리 틀어져 있는데 메뉴얼대로 시도는 해본 것 같습니다만
모두 엉망으로 돌려놨습니다.
917은 mpx 기판을 뒤집으려면 기판 배선 일부를 잘라내고 연장해야 작업후 테스트등을 할수 있습니다.
sca 기능이 작동않는 것은 op amp ic 기준 전압이 조금 떨어져 그런 것으로
저항들 오차가 생겨 그런 것 같습니다.별도 저항을 달아 기준 전압을 회로도 값으로 맞추어 복구했습니다.
멀티 페스 코일 38khz 신호로 조정.이 코일도 크게 틀어져 있습니다.
917은 검파단 출력의 왜율을 검출,비교해서 발진 회로 주파수를 보정,락하는 ddl 기능이 있어서
미터 오차를 위한 튜닝 센터 사진은 필요없습니다만 참고로 올려드립니다.
튜닝 노브를 만지면 ddl 기능이 해재되는데 대충 튜닝해도 정확한 튜닝 센터를
왜율을 검출해서 보정하므로 ddl 램프만 켜지면 주파수 표기가 벗어나도 걱정없이 튜닝이 정확이 됩니다.
서보락,쿼츠락에 비해 if 필터 오차,신호 위상 지연등도 보정하고 튜닝 센터 오차가 없는 켄우드 고유의 고급 방식입니다.
말씀주신 저항 1/2왓트 메탈 필름 저항으로 교환.
기판 접착제로 리드 쪽이 부식된 제너 다이오드 2개 교환.
+ - 양전원이라서 제너 다이오드 전압 오차를 고려해 반드시 같은 것으로 동시 교환해야 합니다.
그외 전원 기판의 발열이 많은 부분에 인접한 전해 케페시터 교환했습니다.
외산 고급 케페시터보다 고성능인 삼영 nxb & 오디오용 전해 사용.
기판은 단자,일부만 재납땜 했습니다.
*그외 작업 내역.
-서비스 메뉴얼 23가지 항목 모두 지침대로 조정.
-스테레오 왜율 1khz 와이드 밴드 좌우 0.03%-0.07% 이하,(제 시그널 장비로는 측정 한계 이하)
노멀 밴드 0.11%,네로우 밴드 0.9% 이하 까지 얻음.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와이드 밴드 좌우 58db & 노멀 밴드 48db & 네로우 밴드 54 db 이상,나쁜 쪽에 주고 받음.
역시 제 시그널 장비로는 측정 한계 영역입니다.
폐업중이지만 시그널 장비를 바꾸어야 하는데 구할 곳이 소리 전자 밖에 없어서
가끔 살펴봅니다만 귀해서 가끔 나오면 순식간에 팔리는 것이 장터 구경 몇년 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잘 사용하시고 혹 문제있으면 말씀주세요.
좋은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