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마란츠 리시버 2265 (2016년 12월 23일 일반)

카테고리 없음

by *JukeBox* 2025. 2. 20. 17:41

본문

예전에 작업해드린 기기인데 소리 끊김등으로 재입고 주셨습니다.

원인은 톤 온오프 셀렉터,테입 모니터 스윗치 접점이 주된 문제입니다.

접점류들은 아무리 잘 세척을 해드려도 시간이 지나면 수분,이물 침착 &

접점 통전시 아크 발생으로 접점 오염등 또 문제가 생겨 주기적으로 재세척이 필요합니다.

 

가끔 모든 컨트롤류들을 부드럽게 수회 반복 작동해주시면

세척 주기가 길어집니다.또 장시간 기기를 안쓸 경우

문제가 생기기 쉬운데 스피커 릴레이를 제외한

모든 스윗치,셀렉터들은 접점 구조가 반복 작동하면

접점간 장력으로 이물이 세척되는 자기 세척 구조이기 때문에

부드럽게 수회 작동해서 개선될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개선이 안되면 직접 하시지 마시고 가져오세요.

 

 

 

 

 

기기 안에 먼지가 많이 내려 앉아 있습니다.

간단히 솔과 진공 청소기로 조치했습니다.

 

 

 

 

 

그전에 일반 작업 사양으로 작업을 해드린 기기인데

작업 사양,비용은 그간 늘 바뀌어 왔습니다.

 

사진은 포노 앰프,입력 셀렉터 기판인데

이때 쯤 2265 일반 작업 옵션은 이쪽 기판은 셀렉터 세척만 하고

기판 작업은 해드리지 않았습니다.

 

 

 

 

 

전원 기판인데 전해 케페시터들은 모두 교환해드렸습니다만

기판 납땜은 단자들만 해드렸네요.지금은 기판 모두 재납땜 해드리고 있습니다.

작업 비용도 인상했는데 그만큼 작업 사양도 좋아졌습니다.

 

 

 

 

 

전원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했습니다.

 

 

 

 

 

파워 앰프 케페시터 단자 재납땜 했습니다.

이 시절에는 대형 단자 납땜은 납이 잘 붙게끔 플럭스를 많이 바르는데

플럭스는 납땜은 쉽지만 비전도성이여서 납땜부가 통전 전류 용량이 작아져

큰전류가 흐르면 연기가 나거나 불꽃이 튀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경우 별도 플럭스는 사용치 않습니다.

 

 

 

 

 

 

파워 앰프 기판인데 작업 사양이 지금보다 좀 떨어지지만 괜찮습니다.

대한민국에서 그값에 이 정도 내실있는 작업 해주는 곳은 정확히 없습니다.

 

 

 

 

 

 

그떄 작업 사양이 파워 앰프 기판도 단자등 일부 재납땜 였네요.

 

 

 

 

 

재입고 되어서 재입고 기기 경우 늘 조금이라도 업그레이드해서 출고드리기 때문에

또 무거운 기기여서 오신 김에 좀 더 살펴드렸습니다.

 

 

 

 

 

입력 임피던스 & 바이어스 저항,게인 저항,그외 초단,프리 드라이버 부하 저항등을

오차 1% 메탈 필름 저항으로 교환.

그외 입력 커플링을 비마 필름 4.7uf로 교환했습니다.

개당 4천원 정도 하는 것으로 프리,포노 쪽 합 모두 8개 교환해드렸습니다.

바이어스 모두 웜업후 온도 보상 전을 기다려 재조정 했습니다.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프리 앰프 기판인데 리캡 & 초단 차동 회로 tr들을 전류 증폭율 선별한 tr들로

교환 해드렸었고 그외 tr들도 모두 교환해드렸었네요.

역시 매우 좋은 사양입니다만 초단 임피던스,바이어스,

게인을 결정하는 nfb 회로 저항,부하 저항등을

오차 1% 메탈 필름 저항으로 교환했습니다.

 

입력 커플링 4개 비마 필름으로 교환.

 

 

 

 

 

프리 앰프 기판 역시 그전에 일부만 재납땜 되어 있는데 모두 재납땜 & 세척했습니다.

 

 

 

 

 

2265,2285,2338등은 전면 컨트롤 기판이 프리 & 그외 컨트롤 기판 2개가 상하로 되어 있는데

중간에 있는 컨트롤 기판 쪽에 로우 하이 필터 버퍼 앰프가 있습니다.

마란츠 이 시리즈 경우 종단 버퍼 앰프 tr 불량일 경우 잡음,간헐 불량등이 생길수 있습니다.

 

소신호용 고전류 증폭율,저잡음 tr들은 고장이 확실치 않아도

경험상 수명이 이때쯤 다되어서 불량이 없어도 미리 교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한달에 한번 잡음등 불량이 날수도 있습니다.

 

 

 

 

 

필터 회로 tr 2개 교환을 위해 탈거.

2265는 교환이 비교적 쉬운 편인데 2285,2330은 전면 세시 패널,

튜너 링줄등을 떼어내고 기판을 탈거해서 작업해야 합니다.

 

 

 

 

 

전류 증폭율 선별한 tr들로 좌우 맞추어 교환했습니다.

 

 

 

 

 

컨트롤 기판은 인두가 들어가는 단자 쪽만 재납땜 했습니다.

 

 

 

 

 

모든 컨트롤류 3가지 용제로 세척.

그전보다 세척을 더 강력하게 합니다만

접점 문제는 또 생깁니다.

 

 

 

 

 

튜너 바리콘이 쩔어서 튜닝시 버륵하는 잡음이 나고 튜닝이 어렵습니다.

바리콘 쪽 부식이 심해서 누차 세척,건조를 반복해서 세척했습니다.

이쪽은 조금이라도 잔류물이 남을 경우 튜너 세팅이 틀어지기 때문에

조심해서 작업해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잔류 용량으로 출고후 틀어질수도 있습니다.

세척을 아예 하지 않으면 그런 문제는 거의 없긴 합니다.

 

 

 

 

 

fm 25us 선택시 사진의 돌비 팩 스윗치 불량으로

접불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서 이쪽 스윗치는 점프해드리고 있습니다.

 

 

 

 

 

 

근래엔 일반 작업도 포노 앰프 기판 쪽도 작업해드리고 있습니다.

초단 tr 4개를 전류 증폭율 선별한 tr들로 교환했습니다.

 

 

 

 

 

포노 입력 커플링을 비마 필름으로 교환.

포노 입력은 신호가 작아서 스피커까지 총 증폭도가 매우 높은데

입력 커플링은 케페시터 누설 전류가 작은 필름이 좋습니다.

 

 

 

 

 

튜너 검파 코일 분해 수리 & 2가지 온도 보상형 케페시터를 기판 상하로 달아서

온도 변화에 의한 코일 드리프트를 최소화 했습니다.

 

 

 

 

 

튜닝 센터를 멀티페스 스코프,if 리미터 포화 전압 이하 입력에서

신호 진폭 상하로 최적화.

 

 

 

 

 

정확한 튜닝 미터 동조 지점.미터마다 0점 오차가 있어서 아나로그 튜너들은

사진을 올려드리고 있습니다.시그널 미터 상관없이 늘 이 위치에 튜닝하세요.

 

if 세라믹 필터 뽑기에 따라 다른데 2265는 if 필터가 기본이 네로우 밴드인데

옵셋 오차로 시그널 미터 최고 위치,신호 입력에 따른 멀티페스 특성이

정확한 튜닝 센터에서 벗어날수 있습니다.

 

 

 

 

 

 

예전 작업 사양은 튜너 쪽은 세팅만 해드리고 커플링등 기판 작업은 해드리지 않았습니다.

커플링 케페시터들,출력단 앰프 tr 4개,if 출력단 버퍼 앰프 tr 1개,

am 회로 제외하고 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했습니다.

부식이 좀 있어서 반고정 저항은 교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교환한 튜너 부품인데 반고정 저항이 사진은 4개이지만 5개 교환했습니다.

이 튜너는 2285와 같습니다.if 쪽 커플링만 3개가 들어갑니다.

 

 

 

 

 

1khz 신호 입력,8옴 부하에서 최고 출력,클립 파형 잘 나옵니다.

 

 

 

 

 

억스 쪽에 약 800mv 전후 신호 입력에서 볼륨 사진의 위치에서

양채널 모두 잠깐 상승이 멈추는데 볼륨 커브 오차 & 흔한 현상이오니 참고되세요.

 

 

 

 

 

 

패널,노브류가 지저분해서 물세척 했습니다.

 

 

 

 

 

뒷면 단자류 세척.

프리&파워 단자는 마란츠 리시버 경우 단자가 내부 스윗치 기능이 있어

접불이 생길수 있습니다.세척해두었습니다.

 

 

 

 

 

*그외 튜너부 작업 내역.

-하이 밴드 108mhz & 로우 밴드 88mhz & 센터 밴드 98.5mhz 설정 & rf 게인 동일.

-스테레오 왜율 1khz 좌우 0.11-0.13% 이하 까지 얻음.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좌우 51-54db 이상.나쁜 쪽에 주고 받음.

2265는 튜너 좌우 각 출력 전압 조정 지원이 되는데

cd 소스와 비슷하게 1.1볼트 & 좌우 편차 0.0db 이내로 해두었습니다.

 

장시간 테스트해서 모든 기능 잘 작동합니다만

혹 문제있으면 말씀주세요.

좋은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