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산수이 리시버 2000A (2016년 10월) 일반

*JukeBox* 2021. 1. 2. 06:24

오래 기다리시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한쪽 채널 잡음으로 입고주셨는데 살펴보니 흔히 그렇듯 증상이 안나옵니다.

이런 간헐 증상은 tr류,케페시터등 불량으로 어느 정도 온도가 상승할때,불량이 심할때

증세가 나와 그럽니다.

 

이 증상 관련해서 이 앰프 경우는 프리,파워,그리고 이 앰프는 구형 방식으로

파워 앰프 출력단에 대용량 커플링 케페시터가 들어가는데 이 케페시터 불량,

그외 이 앰프는 튜너,억스 신호가 포노 앰프를 통과해서 입력 셀렉터 선택으로

포노 앰프의 riaa 소자 온 오프,튜너 디엠퍼시스,억스 신호는 플렛 증폭등을

같이 작동해서 포노 앰프 쪽 불량일수도 있습니다.

 

그외에 문제가 붕하는 험음이 들리는데 전원 케페시터,전원 회로 불량 문제도 있습니다.

 

 

 

구형 방식 튜너는 if 필터로 코일 필터를 쓰고 검파 방식이 s-커브 방식,

mpx 회로가 코일이 많이 들어가서 일손이 더 많이 듭니다.

이런 기기들은 튜너 세팅비를 +3만원 더 청구드리고 있습니다.

 

 

 

구형 방식이라서 파워 앰프가 단전원 식이여서 파워 앰프 케페시터가 1개만 들어갑니다.

출고시 2,200uf로 용량이 작은데 저역에서는 임피던스가 많이 올라가서 저역이 덜 나오게 됩니다.

이 시절에는 대용량 케페시터 제조가 힘들고 비싸서 용량들이 작습니다.

 

용량을 10,000uf로 대폭 증량하고 고역 임피던스 보상용 필름 케페시터 병렬 장착했습니다.

저역외에 험,리플등 성능도 좋아집니다.

 

 

 

파워 앰프 케페시터 용량이 대폭 늘어나서 전원 인가시 정류 다이오드에 큰 전류가 흘러

기존 다이오드 용량은 나갈수 있어서 정류 다이오드를 대용량 & 고성능 페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로 교환했습니다.

 

그리고 다이오드 노이즈 컷트용 케페시터를 추가했습니다.

 

 

 

그외 전원 기판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 &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케페시터들이 살짝 힘을 줘도 리드가 쏙 빠집니다.

이미 수명 여한이 5-10배 이상 지나서 모두 교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전해액이 누액된 케페시터들.

 

 

 

프리,포노,튜너 쪽 정전압 회로 1차 정류 케페시터도 출고시 1,000uf에서

2,200uf로 증량 교환하고 역시 기존 다이오드 용량이 작아서 고성능 다이오드로 교환 &

다이오드 노이즈 필터 케페시터 달아두었습니다.

 

 

 

프리 앰프 1차 정류 케페시터가 기존에 러그식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새로 교환한 케페시터가 작아서 기존 러그에 고정이 안됩니다.

교환한 케페시터는 기판 밑에 장착하고

기존 케페시터는 리드만 잘라서 그냥 두었습니다.

 

 

 

전원 기판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정전압 회로 리플 필터 케페시터는

용량을 2배 이상 늘려 리플 특성을 좋게 했습니다.

세계 최고 성능 수준의 삼영  nxb 사용.

 

 

 

이 기기는 구형 기기여서 접지 계통 선들이 세시 여러 곳에 많은 접지 포인트가 있습니다.

이 시절만 해도 오디오 관련 신기술이 계속 진보하던 시기여서 구형 기기들은 개선점들이 많습니다.

세시 여러곳에 접지를 하면 세시에 많은 종류의 접지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접지 쪽으로 흘러야할 잡신호들이 흐르지 못하고 이른바 루프가 생겨 험이 나거나

신호들 간에 간섭이 생깁니다.

 

파워 앰프 출력이 커지면 접지 레벨이 변동이 생겨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로 들어가서

발진하게 됩니다.이 시절에는 시장에서 어느 정도의 험이나 잡음,입력 신호 간섭등은

용인되던 시절이여서 이때쯤 기기들은 이런 기기들이 많습니다.

이 다음세대 기기들은 성능이 향상되면서 1점 접지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전원 기판 작업을 하다가 이런 문제점들이 보여서 작업한 김에

전원 쪽이나마 1점 접지식으로 바꾸었습니다.

전원 기판 접지 배선 2개가 삭제되고 별도 접지 포인트를 만들어 주접지 측으로

2계통 별도 배선으로 접지해두었습니다.

 

 

 

 

파워 tr 컬렉터 단자 측의 바이페스 케페시터는 필름으로 1uf로 증량해서 교환.

 

 

 

파워 앰프 출력 커플링 케페시터 교환.병렬로 고역 임피던스 보상 케페시터 장착.

 

 

 

전원 쪽 작업 전후 사진입니다.

 

 

 

포노 앰프 기판으로 이 기기는 튜너,억스 신호도 이 기판을 통과해서 잘 작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포노 신호는 mc 경우 파워 앰프까지 10,000배 이상 증폭도 하기 때문에

매우 작은 잡음도 그만큼 증폭되어서 저잡음용 tr 외에 작은 전류로도 큰 증폭을

얻을수 있는 고전류 증폭율 tr을 사용합니다.

 

출고시 프리에 사용되는 저잡음용 tr보다 더 증폭율이 높은 tr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측정해보니 전류 증폭율이 6백배 이상인데 570배 선별한 tr로 교환했습니다.

tr4개를 모두 전류 증폭율 선별한 tr을 사용해서 각 증폭단외에 좌우 앰프 특성이 같아지게 됩니다.

 

570배 이상 tr은 귀해서 4개를 선별하려면 백개 이상이 필요합니다.

이런 점들이 일반 수리점들과는 차별화된 업무 내용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외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삼영 nxb & 오디오용 전해 사용.

 

이 기기는 기판이 이른바 붙박이식 프린트라서 일손이 많이듭니다.

 

 

 

서비스 메뉴얼에 출고후 개선 지침이 있는데 1번은 험이 날경우 앞서 전원단 작업처럼

접지 위치를 주접지 측으로 변경하라는 내용입니다.

정확히 전원단 작업후 우연히 확인한 내용이라서 공교로웠습니다.

 

2번은 포노 측에서 험이 날 경우 개선 사항인데 포노 기판 전원 측에

리플 필터를 추가하라는 내용입니다.

 

 

 

 

메뉴얼대로 리플 필터를 추가하고 케페시터 용량은 470uf 대용량을 사용했습니다.

포노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작업 전 파워 앰프 기판입니다.아래 사진에 녹이 슨것은 열결합 해놓은 tr들 위에 바른

접착제 때문으로 닦아만 두었습니다.이 기기는 바이어스 온도보상용 tr을 파워 tr이 아닌

드라이버 tr쪽에 열결합 하는 방식입니다.

 

 

 

초단 tr을 전류 증폭율 선별해서 좌우 교환했습니다.

구형 앰프여서 전류 증폭율이 높으면 발진이 날수 있기 때문에

출고시 tr과 거의 비슷한 증폭율을 사용했습니다.같은 품번 tr입니다.

말씀주신 증상의 원인이 될수있는 tr입니다.

 

 

 

파워 앰프 전해 케페시터,반고정 저항 모두 교환.

이 앰프는 중점 전압 조정 반고정 저항 접점이 좋지 않을 경우

말씀주신 증상이 나올수 있습니다.

 

그외 커플링 케페시터는 음질,저역 고역 임피던스를 배려해 1uf 필름으로

증량 교환했습니다.이 시절 앰프들은 전해 케페시터 제조 기술이 떨어져

케페시터 누설 전류 때문에 입력 커플링으로 필름 계열인 마일러 소용량을 많이 사용합니다.

 

커플링 용량이 가정 대역 저역 컷오프 주파수를 충족해도

필름 케페시터 경우 용량이 클수록 전주파수에 걸쳐 임피던스가 낮고 평탄하기 때문에

주변 회로가 허용하는한 크게 쓸수록 좋습니다.

 

바이어스는 웜업후 온도 보상 전에 조정해놓았습니다.

 

 

 

파워 앰프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교환한 파워 앰프 기판 부품들.

 

 

 

작업 전 프리 앰프 기판입니다.

 

 

 

프리 앰프 tr 모두 전류 증폭율 선별해서 교환.

말씀주신 증상 원인일수 있습니다.

 

 

 

프리 앰프 입력 커플링 케페시터를 파워 앰프 내용과 같이 1uf 필름으로 증량 교환했습니다.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그외 커플링들은 음질을 고려해 증량 교환했습니다.

 

 

 

 

프리 앰프 기판 모두 재납땜 & 세척.

 

 

 

프리 앰프 입력 전에 커플링 케페시터가 있는데 0.47uf 용량인데

10uf로 증량 교환했습니다.

 

 

 

튜너 세팅중 시그널 미터 조정용 반고정 저항 접점이 좋지 않아서 추가 교환했습니다.

 

 

 

튜너 if 필터 코일들 모두 10.7mhz로 동조.구형 튜너들은 일손이 많이 듭니다.

 

 

 

튜너 if,mpx 기판 전해 케페시터 모두 교환.mpx 입력 커플링은 용량을 대폭 늘려 교환했습니다.

모든 코일들 정확히 조정.

 

 

 

좌우 파워 앰프 전원 입력 쪽에 휴즈를 사용하는데 사진처럼 좋지 않아서 교환했습니다.

 

 

 

스피커 단자 볼트가 풀려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기기 역시 그렇습니다.

조이고 락킹 페인트 발라두었습니다.

 

 

 

 

그전에 교환된 전구 배선이 엉망입니다.

 

 

튜닝 포인터,스테레오 전구 교환.

포인터 전구는 안나갔습니다만 이쪽은 일손이 많이 들어서 미리 교환해두었습니다.

스테레오 전구는 나가있습니다.

 

 

 

 

노브류들이 알루미늄 스플라인 식인데 눈금이 꼭 맞지 않습니다.

밸런스,톤 컨트롤 가변저항 모두 클릭 포인트가 없는 식에

노브 끼우는 위치에 따라 눈금이 틀리오니 청감상 좋은 위치,맞는 위치등

편하신 곳에 돌리려서 사용하세요.

 

 

 

 

*그외 튜너부 작업 내역.

-88-108mhz 낮고 높은 주파수 표기 오차 최소화.

-하이 밴드 108mhz & 로우 밴드 88mhz & 센터 밴드 98.5mhz 설정 & rf 게인 동일.

-스테레오 왜율 1khz 좌우 0.72-0.84% 이하 까지 얻음.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좌우 30-33db 이상.나쁜 쪽에 주고 받음.

 

그외 모든 컨트롤류 3가지 용제로 세척.

잘 사용하시고 혹 문제있으면 들려주세요.

좋은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