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인켈 스코트 튜너 T527 (2020년 12월 오버홀 모디)

*JukeBox* 2020. 12. 12. 13:23

스테레오 불량으로 다른 곳에서 수리를 하셨는데

스테레오 분리를 하는 MPX IC가 불량인데 구할수 없는 것이여서

다른 IC로 모디 작업,작업 후 음질 문제등으로 입고 주셨습니다.

처음 살펴보니 스테레오는 되는데 왜율이 1KHZ 8%로 높고 삐 하는

찌그러지는 음이 납니다.

그전에 AM 회로를 제외하고 리캡이 되어 있네요.

하부 패널 볼트들이 세가지로 섞여 있는데 모두 신품으로 교환했습니다.

이 튜너는 70년대 그 시절 신품 구입하셔서

오랜동안 쓰시던 튜너라고 하시네요.

 

 

 

AM 바 아텐나가 부러져 있어서 에폭시로 붙히고 녹여서 붙혀두었습니다.

 

 

 

 

전원 선택이 입고시 100볼트로 되어 있는데 이 튜너는 220볼트 전환이 지원됩니다.

220으로 바꾸고 220용 신품 코드 더앱터 달아 두었습니다.

220으로 사용하세요.

 

 

 

 

그전에 작업 흔적인데 검파 코일을 떼서 내부 케페시터를 제거하고

케페시터를 붙혀두었는데 모노 왜율,진폭 제한 코일 쪽은 케페시터가 안달려 있네요.

달아보려고 리드를 붙힌 흔적이 있는데 위상 조정용 쪽 동조만 맞추어 보려던 것 같습니다.

왜율이 8%나 되는 것은 이 튜너는 검파 쪽에 별도 TR 앰프가 달려 있어서

검파 출력 최대 + TR 앰프 증폭으로 MPX 입력이 과입력 되어서 그럽니다.

그외 스테레오 불량을 수리하려던 흔적이 있는데 작업,납땜이 거치네요.

 

 

 

 

일단 왜율부터 잡아야 해서 왜율을 소숫점 대로 떨어트렸습니다.

 

 

대부분 리캡을 공중 부양,저리 하는데 전해 케페시터 리드는 약해서 힘주어 빼면 쏙 빠집니다.

대형 케페시터는 기판 구멍에 맞게 리드를 꺽어 안착해주어야 합니다.

신품 케페시터 구입시 리드가 릴 탭에 붙어 있는 경우도

절대 힘주어 리드를 빼면 안됩니다.

작동은 해도 내부 전극이 빠져서 성능이 크게 떨어집니다.

 

 

 

 

그전에 리캡한 케페시터가 누설 전류,ESR이 큰 것에 몇개 안되어서

서비스로 다 걷어내고 교환 해드렸습니다.

디커플링,커플링 케페시터는 증량 교환.

이 기기는 모든 커플링 용량이 너무 작은데 입출력 임피던스를 감안해도

너무 인색하게 적용되어 있습니다.

커플링은 입출력 로딩 임피던스,입력단이 싱글인가 푸시풀인가,

전원 인가시 충전 시간,주변 회로에 악영향이 없는한

크게 쓸수록 내부 임피던스가 전 대역이 평탄해서

허용 내에서는 크게 쓸수록 음질에 좋습니다.

단 입출력 전압 차가 클 경우 누설 전류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튜너는 인켈이 처음 자체 브랜드로 데뷰할때 인켈 고유 모델 TK600과

같이 출시되었는데 그전에 미국 스코트에 OEM 납품하던 튜너를 내수용으로 출시한 튜너입니다.

TK600은 RF 밴드 필터가 안테나 코일 포함 2단인데 이 튜너는 밴드 필터가 3단 입니다.

프론트엔드가 일제 알프스 모듈입니다.

그러나 토탈 성능은 TK600이 좀 낫습니다.

부분부분 만듦새도 TK600이 완성도 있고 내구성,사용감이 좋습니다.

IF 필터가 세라믹 2단인데 TK600도 초기 모델은 2단 이였다가

나중에 세라믹 필터 3개로 바뀌었습니다.

 

 

 

 

그전에 전구가 저렇게 교환되어 있는데 그냥 놔두기도 난감하고

1개는 나갔는데 나간 것만 교환하면 밝기가 다르고...

나중에 전구 나가서 또 수리점에 들어가면 비용,시간이 들지요.

전구 소켓이 3개가 없어서 어차피 소켓형 번데기 전구는 달기가 애매합니다.

밝기가 조금 더 밝은 전구로 리드를 달아 달았습니다.

FM 표기 전구가 나가 있어서 교환.

 

 

 

 

패널 노브들이 많이 지저분해서 물 세척.스케일창 청소.

패널 노브들에 왁스 발라 두었습니다.

사진은 별것없는데 거의 새것 됐습니다.

지난 15년간 이리 해드려도 뭐했나 잘 모릅니다.

스케일 아크릴이 떠 있는것 접착 해두었습니다.

튜닝 바늘은 바리콘이 접힐때 표기 좌우 끝에서 끝까지 맞추었습니다.

 

 

 

 

컨트롤류 세척.

 

 

이제 세팅하려고 보니 검파 출력 앰프 TR 불량으로

불규칙하게 신호가 완전히 먹통됩니다.

 

 

 

전원 전압이 10.5볼트 밖에 안나오는데 13볼트 정도로 올렸습니다.

 

 

 

그러나 역시 말씀주신대로 스테레오 불량이 나오네요.

MPX IC 내부 이른바 V.C.O 회로 불량인데 IC가 그 시절에

속속 신형이 나오던 시절이여서 구식인데 바꾸려면 다른 IC를 유용해야 합니다.

IC 내부,리드 배열이 다르기 때문에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디엠퍼시스는 정확히 국내 규격 75US로 맞추었습니다.

모노 스윗치 전압 작동이 반대여서 모드 스윗치도 변경 해주어야 합니다.

 

 

 

튜닝 센터를 IF 리미터 포화 이하 작은 신호 입력에서 신호 상하 진폭으로 최적화.

미터 마다 오차가 있어서 AM 선택이나 전원을 끈 상태에서 튜닝 미터 바늘 위치를 확인하셔서

튜닝 미터를 늘 그 위치에 튜닝하세요.

 

 

 

 

기존에 검파 출력 TR 앰프는 아까워서 이미터 팔로워 버퍼로 바꾸어 썼습니다.

왜율,고주파 성능이 좋아집니다.

*그외 작업 내역.

-로우,하이엔드,RF 트래킹 90-106MHZ,낮고 높은 주파수 표기 오차 최소화.

-스테레오 왜율 1KHZ 좌우 0.26% 이하 까지 얻음.

-스테레오 분리도 1KHZ 좌우 50DB 이상.나쁜 쪽에 주고 받음.

웬만한 고급기도 50DB 넘기기 힘든데 매우 좋네요.

스테레오 분리도가 크면 신호가 약한 잡음 많은 방송은

잡음이 커지오니 참고되세요.